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직의 오류 관리와 공공조직의 역량 증진을 위한 가치로서 가외성은 다양한 단위에서 구현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능률성 중심의 신공공관리 행정 패러다임 하에서 큰 이론적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양한 영역에서 구현된 가외성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다중성과 의도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가외성 개념을 비판적으로 재조명하고 향후 이론적 발전을 위한 논점들을 제기하는 것이다. 나아가 가외성과 능률성의 상보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가외성의 실천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정보, 장치, 대리인, 정책, 조직, 부문 단위의 가외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가외성의 다중성과 의도성이 현대 조직의 가외성 이해에 이론적 핵심 문제임을 논의하고, 가외성 개념에서 비가시적 중복/중첩, 동등잠재성의 중심성, 그리고 요소 간 상호의존성에 대한 인식이 강조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가외성과 능률성과의 관계에서 가외성의 편익, 경쟁을 통한 가외성과 능률성의 양립, 그리고 조직의 적응 능력 향상을 근거로 가외성과 능률성의 상보관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가외성에 대한 보다 활발한 이론적, 실천적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Although theoretical attention to redundancy has occasionally been given in the area of organizational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the concept of redundancy has not received due atten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during the era of New Public Management, which emphasizes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new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points on redundancy for future theory building. We first synthesize different units of redundancy in practice: information, equipment, principal-agent relationship, policy, organization, and sector. Based on the synthesis, we analyze the issue of multiplicity and human agency in redundancy, and we propose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redundancy that focuses on invisible structural overlap/duplication, centrality of equipotentiality, and awareness of interdependence among elements. Final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potential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redundancy and efficiency by emphasizing the benefit of redundancy in the long term and the competition mechanism inherent in both redundancy and efficiency. We conclude by emphasizing the need for more research on redundancy to cope with contemporary challenges to public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