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결혼에 대한 가치, 이에 대한 학년별 차이 그리고 좋은 부모에 대한 역할기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결혼에 대한 가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W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학년 56명과 G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0명, K대학 1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55 총 14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좋은 부모에 대한 역할기대를 분석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개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는 결혼과 자녀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양육에 대해서는 경제적 문제로 다소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각 문항에 대하여 학년 별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대부분의 문항에서 학년 별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좋은 부모는 ‘존중해 주는 부모’, ‘모범적인 부모’, ‘지지해 주는 부모’, ‘친구 같은 부모’로 분류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결혼에 대한 가치 형성과 부모역할수행에 관련하여 예비부모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lue of marriage, difference in level of awareness of such value based on grades, and role expectation about ‘good parenting’ perceived by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In order to analyze the value of marriage, 56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attending W University, 30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attending G University, and 55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attending K University, in total of 141 subjects were included in survey. In addition, concept map analyze was carried out on 20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for analysis on the role expectation about ‘good parent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positive opinion on marriage and children but negative opinion on nurturing due to financial cause reasons. Also, difference level of perspective toward each questionnaire was analyzed for each grade and such difference appeared to exist by the grades. Furthermore, the ‘good parenting’ perceived by the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as categorized as ‘apprising parents’, ‘exemplary parents’, ‘supportive parents’, and ‘friendly paren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formation of values and the educational direction for pre-par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