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벽, 황사영, 정하상은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까지 천주교를 대표한 지식인이자 신자였다. 그런데 그들이 처한 사회, 사상적 상황이 달랐으므로 그들의 천주교, 유교 인식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이벽은 천주교 수용을 주도했고 유교와의 보완을 꿈꾸었다. 그의 구상은 보유(補儒)의 흐름 안에 있었고, 그의 주장은 경학(經學) 해석을 통해 재생시킨 정약용에 의해 계승되었다. 황사영은 이벽과는 대척점에 서 있었다. 신유박해라는 미증유의 고난을 겪었던 그는 〈백서〉에서 순교자들의 전기를 저술하여 천주교의 도입과 활동을 정당화, 계보화했다. 특히 당론서 형식을 빌어 천주교를 옹호한 사실은 새로운 정치 담론의 등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그 담론은 진영 논리로의 귀결을 의미하였고, 내외부의 반발을 일으켰다. 이벽의 주장을 계승한 정약용 또한 정치 담론을 빌어, 황사영에 대해 ‘붕당 내부의 잘못된 분파’라는 논리로 비판하였다. 이완된 세태와 긴박한 박해를 두루 경험했던 정하상은 두 사람의 면모를 고루 갖추고 있었다. 그는 보유의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상소라는 정치 문서를 빌어 호교론을 설파하였다. 그런데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와 새로운 인식이 나타나고 있음은 주목할 일이다. 〈상재상서〉가 교리 이해의 완숙함을 드러낸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한편 〈상재상서〉에는 양명학의 개념이 수용되는가 하면, 재화와 유통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자리잡고 있었다.


Yi Byeok, Hwang Sa-young and Jeong Ha-sang were the representative intellectuals and believers of Catholicism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And their recognitions of Catholicism and Confucianism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because their social and ideological situations were different. Yi Byeok led the acceptance of Catholic Church and dreamed of making up with Confucianism. His idea was under the stream of supplementing Confucianism with Christianity and was succeeded through Jeong Yak-yong. Hwang Sa-young, who experienced Sinyubakhae, was in contrast to Yi Byeok. He characterized Catholicism in the Baekseo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biography of martyrs. He also justified Catholicism by asking for the form of ideological document. His radical arguments were hardly acceptable to moderate intellectuals. Jeong Yak-yong strongly criticized Hwang's. Jung Ha-sang showed new aspects, forming a balance between the two. Having experienced the relaxed social situation and acute persecution, he maintained the harmony of Confucianism and Catholicism also petitioning for the legitimacy of Catholic with the political document of Sang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