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이 정신적 폭력에서 시작해 신체적, 성적 폭력으로 수위가 높아지는 데이트 폭력 가운데 어떠한 심리내면의 경험을 하게 되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데이트폭력을 경험해 본 피해여성 17명을 인터뷰하여 근거이론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7개의 개념과 51개의 하위범주, 21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인과적 조건에는 ‘폭력연애가 의아함’과 ‘당황함’, ‘혼란 중에 좋음’과 ‘폭력이 무서움’, ‘이별이 무서움’이 도출되었으며, 맥락적 조건에는 ‘이성교제에 대한 인식’과 ‘폭력에 대한 수용성’이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 ‘비정상적인 사랑을 경험함’으로 도출되었다. 중재적 조건에는 ‘폭력경험 수준’, ‘폭력대처 수준’, ‘관계몰입도 수준’이 도출되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에는 ‘남자친구에게 몰두하기’, ‘남자친구에게 대항하기’, ‘사람들에게서 물러서기’, ‘폭력대처를 위해 대안 찾기’, ‘자신의 소망을 상상하기’, ‘좋았던 때를 기억하기’, ‘남자친구와 단절하기’가 도출되었으며, 결과에는 ‘그리움’, ‘안도감’, ‘두려움’, ‘무덤덤’이 도출되었다. 핵심범주는 ‘고통스러운 사랑의 미로를 지나 모순된 감정을 확장 또는 축소해 나가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의 심리내면에 기여한 다양한 요인들이 체계적 관점에서 내사되어 상호작용한 것임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sychological changes in female victims of dating abuse as the violence escalates from psychological to physical and sexual. 19 women, with previous history of dating abuse were interviewed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grounded theory. 127 concepts, 51 subcategories and 21 upper categories were deducted via open category. Causal conditions included: ‘weird,’ ‘embarrassing,’ ‘painfully pleasant,’ and ‘scared’ were deducted.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awareness in dating’ and ‘acceptability to violence’ were deducted. Central phenomenon was noted as ‘experience of abnormal love.’ For action/interaction strategy, ‘facing,’ ‘stepping back,’ ‘looking for an alternative,’ ‘imagining,’ ‘remembering,’ and ‘severing’ were deducted, and ‘reminiscing,’ ‘relieving,’ ‘scared,’ and ‘nonchalant’ were deducted. Through selective coding a total of 4 types were deducted. The types are categorized as ‘accepting,’ ‘jealous,’ ‘terrified’ and ‘hopel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