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가상 이동’의 개념과 그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가상 이동’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가상’, ‘이동’이라는 용어를 각각 살펴보았다. 우선 ‘이동’에 대한 인식은 ‘실제 이동’의 체험이 심리적으로 확장되며, ‘이동 사건’ 내에서 그 의미가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다음으로, ‘가상’은 인간의 상상력에 의해 투사되는 실재로 간주된다. 이를 통해 ‘가상 이동’은 ‘물리적 공간에서 비이동체의 위치 변화 인식’으로 정의된다. ‘가상 이동’의 인식을 언어적, 인지적 측면으로 살펴보았는데, 우선, 언어적으로 ‘가상 이동’은 ‘전경’, ‘참조점’, ‘경로’를 통해 표현되었다. 첫째, ‘전경’은 실제 대상에 대한 인식에서 관찰 가능 여부 및 인식적 거리에 따라 표현된다. 둘째, ‘참조점’은 이동체에 대한 인식이 나타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제시된다. 셋째, ‘경로’에서 속도와 시간은 ‘실제 이동’에 비해 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가상 이동’ 표현을 인지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첫째, 전경은 ‘주의’, ‘전경-배경’ 역전, 그리고 ‘무대 모형’을 통해 이해된다. 둘째, ‘참조점’에서 직, 간접 이동에 대한 체험이 반영된다. 셋째, ‘경로’를 통한 ‘시간’ 인식이 ‘주사’라는 방식으로 해석된다.


The paper aims to explain concept and perception in fictive mo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ords ‘fictive’ and ‘motion’ in order to clarify the concept of fictive motion. First, the meaning of motion is explicit in a ‘motion event’. Also, ‘motion’ psychologically extends from an experience of actual motion. Next, ‘fictive’ is regarded as the reality projected by human’s imagination. Through each perception, ‘fictive motion’ is defined as perceiving the changes in direction of the non-moving entity in the physical space. This study also examines linguistic and cognitive aspects of perception in fictive motion. Regarding linguistic aspects, the expressions of fictive motion linguistically differ from actual motion in ‘figure’, ‘reference point’ and ‘path’. First, ‘figure’ which expresses the subject in sentences is perceived in two ways in fictive motion. One is observable or unobservable, and the other is perceived as distance. Second, ‘reference point’ which is expressed as an adverb in sentences is perceived as a moving-entity or not. Third, the expressions of speed and time in ‘path’ are not specific in fictive motion expressions. Next, linguistic phenomena construe cognitive aspects. First, ‘figure’ is understood by ‘attention’, ‘figure-ground’ reversal, and ‘stage model’. Second, ‘reference point’ is regarded as experiences of direct or indirect motion. Third, time perception through the ‘path’ is understood by ‘sc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