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In the contemporary era of postmodernity marked by increasing awareness of the relativity, context, and individuality of our human experience and knowledge, pastoral and practical theologies have advanced by both incorporating diverse and particular experiences and voices of people who have been previously ignored and stressing their particular context and praxis. Such new and dissimilar voices shaped by different contexts of life and the newly constructed theologies based on such particular experiences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pastoral and practical theology. However, they are often in conflict with the traditional Christian churches and their theology that believes in the universality of a Divine Truth. Some radical forms of social constructionism regard traditional theologies concerning gender identity, marriage, and family as mere human inventions or constructs of a specific community and culture in history and devalue the existence and roles of the natural human body. Pastoral theologies that are influenced by this radical trend are difficult to embrace. In this regard, this essay develops an epistemological theory and methodology of pastoral theology to reconcile the shifting emphasis on the diversity and individuality of human experience and knowledge with the universal truth claims of the church.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ideas of phenomenologists such as Maurice Merleau-Ponty, Carol Bigwood, and Drew Leder, who elaborate on the active roles of the body in human experience and the formation of the self in the holistic bodily engagement with others and the environment, are brought to a critical dialogue with some related theological ideas. In so doing, this study develops an epistemological theory of pastoral theology that bridges the schisms between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mind and body, subject and object, and self and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is epistemology, this study also offer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applying pastoral theology.


경험과 지식의 상대성, 다양성, 그리고 특수성을 그 특징으로 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와 문화 속에서 목회신학과 실천신학은 지금까지 소외되어 온 다양하고 특수한 경험과 목소리들에 귀를 기울이며 구체적 상황과 프락시스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새롭고 다양한 목소리들과 이를 토대로 구성된새로운 신학적 담론들은 현대신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하였지만 진리의 보편성을 추구하는 교회의 신앙과 신학과는 종종 갈등 관계에 놓이게 되었다. 특히일부 목회신학 연구에서 볼 수 있는 극단적인 사회적 구성주의의 영향은 인간의 자연적 몸의 실재와 그 역할을 소홀이 여기고, 젠더, 성, 가족 등을 사회-문화적 담론에 의해서 구성된 것으로만 강조함으로써 전통 신학의 이해와 조화되기 어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근거하여 본 논문은인간 경험의 다양성과 개별성, 그리고 전통신학의 보편적 진리관을 조화시킬수 있는 목회신학의 인식론과 방법론에 대해서 논구한다. 특별히 이 논문은 현상학자인 Maurice Merleau-Ponty, Carol Bigwood, Drew Leder 등의 철학에 나타난 객관적 실재로서 인간의 몸이 타자나 환경과의 전인적인 상호작용가운데 인간 경험과 자기의 형성 과정에서 수행하는 능동적인 다양한 역할들을 살펴보며, 이를 신학적 이해와의 비평적 상호대화 가운데, 특수성과 보편성, 몸과 마음, 주관과 객관, 자기와 환경의 분리와 그 갈등의 문제를 조화시킬수 있는 목회신학적 인식론을 제시하고 이에 근거한 몇 가지 구체적인 목회신학의 방법들을 제안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