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이 유아의 의복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 자기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K도에 소재한 13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291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모형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태도와 유아 자기조절능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부터 그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어머니의 친환경 의복소비행동이 유아의 의복관리행동을 향상시키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친환경적이며 건전한 의복소비를 지향하는 어머니의 노력과 함께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강화하여 유아의 의복관리행동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other’s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moderate the impact of maternal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on children's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ing 291 children and their mothers of 13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 province. A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model was verified using Hayes (2013) PROCESS macr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ther’s eco­friendly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increased the tendency to improve the children’s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as the mother’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increased above a certain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hildren’s clothing management behavior by strengthening the mother’s affectionate,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in addition to the mother's efforts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ealthy clothing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