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이혼 여성결혼이민자들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근무자에 대한 심층인터뷰 분석을 통해 해체 다문화가족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심층면접을 통해 드러난 해체 다문화가족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면접대상자들은 이혼 후에도 자녀양육을 책임지고 있었으며, 경제여건을 마련하기 전까지 자녀를 본국으로 보내어 친정의 도움을 받아 양육하고 있었다. 둘째, 경제활동과 자녀양육의 이중고를 국가에서 지원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도움을 받아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셋째, 이혼 후 한부모가정과 다문화가정이라는 이중적 특수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국적취득과 일자리, 그리고 거주문제 등은 시급한 해결과제로 보였다. 또한 해체 다문화가족의 문제점들 중 가장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사항들에 초점을 두어 정책방안 역시 제시하였다. 첫째, 안정적인 주거지 확보를 위해 공공성에 입각한 임대주택 제공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직업의 안정성이 담보되는 일자리 제공을 위해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유도해낼 수 있는 직업기초교육 프로그램과 취업알선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커리어센터 설치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정보유통의 채널 역할을 할 수 있는 이혼 결혼이주여성들 내부 국가별 네트워크와 함께 기존 지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이주여성들 사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형성을 카운셀러 혹은 후견인을 통해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policy plans for secure settlements of dissolution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out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The major results from analysis of qualitative interview are as follow. First, divorced married immigrant women still take responsibility for raising children after they got divorced and they were received help from their parents in Vietnam Until they get better economic conditions. Second, they are suffering from economic activities and raising children and they try to overcome using supporting programs from Korean government. Third, urgent issues of them are acquisition of nationality, job, and housing. Also, this study proposes policy plans for urgent issues of dissolution multicultural families for secure settlements. First, this study offers a policy plan of public housing based on publicness for a secure residence. Second, this study provides a career center which offer a basic vocational training education and a job placement for a job stability. Third, this study suggests channels of social networks which connect between divorced women and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