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사회적 논쟁거리가 되어 온 국사교과서 문제의 쟁점에 대해 그 원인으로 가치차원을 상정하고 그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총 248명의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Hofstede의 5가지 가치차원이 국사교과서 근현대사에 대한 긍정적 서술 지향 및 국사교과서 국정화 찬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매개회귀분석을 통해 근현대사 긍정서술지향의 매개효과 또한 부가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집단주의와 남성성이 근현대사 긍정서술지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과서 국정화 찬성에 대해서는 집단주의만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근현대사 긍정서술지향은 집단주의와 국정교과서 찬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집단주의 성향이 국사교과서 관련 논쟁점의 핵심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value dimensions on positive orientation towar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state-authored textbook. Valid and reliable self-report evaluation measures were administered to a sample of 248 workers in South Korea.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revealed that collectivism and masculinity had an positive effect on positive orientation towar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Collectivism had a positive effect on state-authored textbook. The results show that collectivism is a important factor for the contents and perception Korean history. Additionally positive orientation toward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ism and state-authored textbook.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