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2016-17년 촛불혁명이 진행된 광화문 광장을 매개로, 조선조의 유교 공론장 이래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진 공론장의 구조변동에 대해 논의한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서구로부터 도입한 개념인 ‘공공성’ 및 ‘공론장’ 개념과, 현재 그 개념의 번역어로 사용되나 사실상 성리학에서 유래한 ‘공론’ 개념을 비교하는 데서 시작한다. 광화문 광장은 조선조 유교 공론장의 표출 공간으로 정치적 의미를 획득하여, 오늘날 촛불혁명의 공간으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17세기에 유교 공론장이 근대화한 것으로 설명하는 김상준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김상준과 달리 동학 등의 대항 공론장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반봉건적 공론화가 이루어졌다고 보는 연구들과 김상준의 논의를 비교한다. 한국에서 공론장과 근대성의 관계에 대한 이상의 논의들을 배경으로, 2016-17년의 촛불혁명이 유교 공론장에서 이어진 한국사회 공론장의 구조변동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었다고 설명한다. 여기서 ‘구조변동’의 내용은 ‘압축적 탈바꿈’으로 설명한다


I understand the Gwanghwamun Square of 2016-17 as a location revealing a compressed metamorphosis of South Korean concept of the public from Confucian one to modern civil one. In contrast to its Western counterparts, the South Korean civil revolution of 2016-17 occurred not in the context of an emerging industrial society but in that of an emerging risk society. Therefore, I view this Korean form of civil revolution as a process of compressed metamorphosis of Korean industrial society, which has resulted from the country’s successful industrialization. I argue that the political and the procedural democratization since 1987 can be understood as a more or less formal democratization of the traditional Confucian governance ethics. A process of compressed individualization has been underway since then, and the Candlelight Revolution of 2016-17 represents its political consequ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