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의 관광은 일본과 중국이라는 강력한 문화소구력을 가진 경쟁국가를 이웃하고 있어서, 중국, 일본과 다른 우리만의 고유함과 진정성을 관광상품화하여야 만이 안정적으로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다. 한국적인 관광상품은 우리의 고유전통사상에 기반을 두어야만 한다. 세계적 문화현상인 한류와 관련해서 우리의 삶에서 출발하고우리의 전통에서 우러나오는 전통문화사상인 풍류의 역사적 배경과 특성, 관광과의 관련성, 21세기 한국관광에 대한 시사를 규명⋅제시함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한류의 성공과 한류를 공간적, 시간적으로 발전⋅확장하기 위해서는 21세기의 포스트모던적 시대정신과 맞아야하며 세계적 보편성을 지녀야 한다. 동시에 우리의 전통문화에 기반해야 한다. 풍류란 우리 민족의 문화와 사상이며, 한국인의 얼이다. 한류의 힘은 관광산업과 결합되었을 때 시너지효과는 더욱 커진다. 우리의 대중문화, 전통문화, 각 지역의 문화 그리고 향후 고급문화를 아우르는 새로운 관광한류의본질은 우리 풍류의 유희적 신바람, 종교적 영감, 예술적 감각, 만남의 미학에서 찾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관광분야만의 경제⋅경영적 시각을 넘어서 사학, 민속학, 동양 및 한국철학, 종교 및 예술분야와의 협업이 절실히 요청된다. 특히, 현재 한류를 가장 활발하게 생산⋅전파하고 세계화시킨 연예오락⋅방송⋅영화부문의 대중성, 흥겨움, 창조력, 연출능력을 관광산업에 도입하여야 한다.


There is now a worldwide enthusiasm for Hallyu (Korean wave), which is based on Pungryu. Pungryu, which originated from the myth of Dangun (the progenitor of Korean ethnos), means an active, noble, and traditional way of life. It thrived from the Silla to Koryo dynasties. Ancient Koreans enjoyed dancing, music, and drinking during festivals and continue to do so. Consequently, Pungryu seems an obvious way to popularize tourism and an appropriate cultural tourism aspect in postmodern times. This study aims to define and prove Pungryu as a traditional philosophy of tourism to upgrade Hallyu as a powerful weapon of Korean cultural tourism. Based on these discussions,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for Korean culture to captivate the minds of others in the contemporary world, efforts must be made to discover the cultural validity of and appeal of Pungryu and to develop it into new cultural contents in Korea. The power of Hallyu grows more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tourism industry. For revolutionary progress in the tourism industry, there exists the playful excitement, religious inspiration, and aesthetic encounters of Hallyu, the essence of Korean traditional philosophy. To achieve such research purposes, the researcher referenced many historical books related to Hallyu, Pungryu, Shamanism, and Hwarang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