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e-learning) 기반의 15주차 인구교육 강좌를 개발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닝(e-learning) 기반의 ‘저출산·고령사회와 생애설계’ 인구교육 강좌를 수강한 472명 학생들의 인구교육 필요성, 저출산·고령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인구교육 필요성과 저출산․고령사회에 대한 인식 정도의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에서 이러닝(e-learning)기반 인구교육 강좌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대학 교육에서 변화하는 과학․기술적 환경에 대응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 방식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한 내용의 이러닝 기반 강좌 개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apply a population education course applied with e-Learning for 15 weeks, and then to explore its educational possibility by verifying the effects. Concretely, it analyzed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population education, perception of low birth & aging society,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targeting 472 students taking the population education course applied with e-Learning.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t-scores of students’ perception of necessity of population education and their perception of low birth & aging society were higher than the pre-scores,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students had high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the population education course, and their perception of necessity of population education and low birth & aging society was improved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the course. And through students’ opinions about the course, their values of marriage and child birth were changed, and their perception of importance of designing and preparing their own lives was also improved. Such results showed the educational possibility and positive effects of population education course using e-Learning in univers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