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문화가 일・가정양립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조직문화와 일・가정양립 갈등에 대한 선행연구 검토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조직문화변수로 경쟁가치모형에서 논의하고 있는 4개의 조직문화(집단문화, 시장문화, 혁신문화, 위계문화)중 혁신문화가 제외된 3개의 조직문화를 선정하였다. 또한 종속변수가 일・가정의 부정적 전이를 나타내는 시간압력과 중압감으로, 변수가 순서화된 선택형범주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순서화 로짓모형(Ordered Logit Model)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가정양립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 요인은 모형에 따라 상이하였지만 3개의 조직문화 모두가 일・가정양립 갈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정책적 함의로 첫째, 일・가정양립지원을 위한 조직차원의 제도적 마련의 필요성 둘째, 유연한 조직문화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기존연구에서는 하나의 조직문화를 중심으로 일・가정양립 갈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경쟁가치 모형에서 논의하고 있는 여러 조직문화를 적용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조직문화와 일・가정양립 갈등을 살펴보았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work-family conflicts. To this end, a study model was derived by conducting a preceding study review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work-family conflicts, three organizational cultures excluding adhocracy culture were selected out of the four organizational cultures(group culture, market culture, adhocracy culture, hierarchy culture) discussed in the competing values model as organizational culture variables. Th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using the Ordered Logit Model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in an ordered, selective category with time pressures and pressures representing work-to-life negative spillover.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organizational culture factors affecting work-family conflicts varied depending on the model, but all three organizational cultures were able to identify their impact on work-family confli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it suggested the need for organization-level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support of work-family balance. Second, it proposed the need for flexible organizational culture. In addition, while previous studies have conducted studies on work-family conflicts with one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examining organizational cultures and work-family conflicts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applying the different organizational cultures discussed in the competing value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