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인관계적 외상 경험과 심리적 수용이 공감적 이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대이상 성인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인관계적 외상 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대인관계외상 체크 리스트, 공감적 이해 능력 측정을 위한 공감적 이해 소척도(BLRI-EU), 심리적 수용 정도 측정을 위한 심리적 수용성 척도(AAQ-Ⅱ) 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281명의 자료를 SPSS 23.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외상 경험 당시의 고통과 심리적 수용의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상 당시 고통이 높을수록, 심리적 수용을 잘 할수록 공감적 이해의 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외상 경험 당시의 고통과 심리적 수용 수준의 상호작용 경향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경험과 관련한 현재의 고통과 심리적 수용의 주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상 경험과 관련한 현재의 고통과 심리적 수용 수준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terpersonal trauma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on empathic understanding ability. The survey questionnaires included interpersonal trauma checklist, BLRI-EU for measuring empathic understanding and AAQ-II for measuring psychological acceptance. To achieve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300 persons, over 20 years of age who live in Seoul and Kyeongki-do. Of those, 281 vali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using SPSS 23.0. The result of the study disclosed that: one, The main effect of suffering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t the time of trauma experience was significant. That is, the higher the suffering at the time of trauma, the better the psychological acceptance, the higher the level 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it turns out there was a tendency of interactions between suffering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at the time of trauma experience. Two, The main effects of current suffering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on trauma experience were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current suffering and psychological acceptance level related to trauma experience was not significant. Lastly, restrictions to this study as well as future studies have been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