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공무원 조직의 전문성과 개방성 제고를 위해 경력경쟁채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경력자 채용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앙부처 29개 기관 공무원 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공개경쟁채용(공채)과 경력경쟁채용(경채) 출신 공무원 간의 성과가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경채 출신 공무원은 공채 출신 공무원과 비교해 성과, 조직몰입, 직무열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채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직무열의는 경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하고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급 경채와 7급 경채의 효과성을 비교해본 결과 7급 경채보다 5급 경채의 효과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논의되어온 경채의 효과성을 입증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경채가 공무원 조직과 정부의 성과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Despite the trend of increasing recruitments for experienced personnel from the private sector to enhance the expertise and competitiveness of the government, the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ced professionals is insufficient. Therefore, using data from 29 central government agencies, this study analysed differences in performance between government employees hired based on private sector experiences and those hired by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engagement were higher in the group of experienced personnel than that of personnel who passed the examination. Second, the mediated effect of work engagement was found. Work engagement fully mediated the effect of experienced employ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artly did on individual performance. Third,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Class 5 and Class 7 experienced personnel, the effect of Class 5 was greater than that of Class 7. These results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recruitment for experienced professionals and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