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어휘인출과제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 어휘인출능력을 비교하고, 단어빈도와 조음복잡성이 대상자의 어휘인출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4-6세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 20명, 일반아동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휘인출 과제는 제시된 그림을 보고 즉각적으로 답하는 과제로, 대상자별로 개별적으로 진행되었다. 어휘인출 점수와 오류유형별 비율을 측정하여 집단 간 비교하였고, 정반응수와 오류수를 WebFit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대상자가 S-L 결함과 L-P 결함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두 집단 간 단어빈도와 조음복잡성에 따른 어휘인출 과제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결과: 순수 말소리장애 집단은 일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어휘인출 수행력을 보였고, 비단어 오류를 유의하게 많이 보였다. 순수 말소리장애 집단은 일반 집단보다 L-P 집단에 해당하는 아동이 더 많았지만,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 단어빈도가 낮고 조음복잡성이 높은 어휘목록에서 수행력이 떨어졌다. 그러나 조음복잡성이 높은 경우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의 불안정한 어휘인출능력, 그리고 조음능력과 어휘인출능력 간 관계에 대해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aims to compare the lexical retrieval ability between children with pure speech sound disorders (pure SS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word frequency and phonetic complexity on the performance of a lexical retrieval task in SSD and TD group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 pure SSD and 20 TD children from 4-6 years old. All participants performed the lexical retrieval task. The total score and error score were analyzed, and the error score was used to diagnosis whether the subjects had a semantic-lexical deficit (S-L deficit) or lexical-phonological deficit (L-P deficit) using the WebFit program. Additionally, their performance was analyzed according to word frequency and phonetic complexity. Results: The pure SS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total score than the TD group. In the types of error, the pure SS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nonword errors than the TD group. The pure SSD group showed more L-P deficits than TD group in the WebFit program, b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ere not significant. Both groups showed lower ability in low frequency words compared to high frequency words. Also, both groups showed lower ability in ‘high phonetic complexity level than the ‘low’ phonetic complexity level.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he phonetic complexity ‘high’.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pure SSD group had lower lexical retrieval ability than the T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iculatory and lexical levels are intera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