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대외 환경과 정책결정 시스템의 변화를 중심으로 20세기 핀란드의 중립 평화 외교정책이 형성, 발전, 진화해온 역사적 맥락과 그 정치적 다이내믹을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한다. 이를 위해 논문은 전후 핀란드의 중립 평화 외교정책의 발전 과정을 역사적, 동태적,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할 것을 주장한다. 논문은 ‘핀란드화’(Finlandization) 개념 논쟁 등 핀란드의 중립 정책을 주로 강대국 틈바구니에서 약소국이 취하는 수동적 생존 및 적응 전략으로 인식해온 기존 연구 경향을 뛰어넘어 1970년대 이래 적극적 평화 외교로의 정책 전환이 갖는 현실 타개적 측면을 균형적 관점에서 조명한다. 이를 위해 잘 알려진 빠시끼비-께꼬넨 독트린(Paasikiven-Kekkosen linja) 뿐만 아니라 께꼬넨 대통령 임기 후반의 정책 전환 및 전환기의 국제관계를 성공적으로 관리한 꼬이비스또(M. Koivisto, 1982-1994 재임) 대통령의 리더십과 외교노선에도 주목한다. 또한, 논문은 핀란드와 같은 ‘경계국가’(border states)에서 국제정치와 국내정치가 긴밀하게 맞물려 전개되는 정치적 다이내믹에 주목하면서 핀란드의 지속적 헌법개혁과 대외정책 결정 시스템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제공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문은 향후 한반도 평화체제로의 이행과 미래지향적 동아시아 안보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핀란드 외교 정책 모델의 함의를 숙고한다.


Focusing on the dynamics between international environments and national policy-making systems, this article analyzes key features of the Finnish foreign policy having sought for a neutrality and peace diplomacy over the 20th century. Adopting a historical, dynamic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the study argues to evaluate two main characteristics of the Finnish foreign policy in balance: (1) as a passive survival and adaptation strategy of a small country between superpowers and (2) as an active strategy to break the status quo through a diplomatic paradigm shift since the 1970s. For the analysis, it pays attentions not only to the well-studied Paasikivi-Kekkonen Doctrine (Paasikiven-Kekkosen linja) but also to a turn in foreign policy during the late period of Kekkonen’s presidency, and furthermore to the ex-President Mauno Koivisto’s leadership and foreign policy line during a transitional era between 1982 and 1994. The study also examines continual Constitutional reforms in Finland since the late 1980s and their influences on the foreign policy-making system. The conclusion reflects extensive implications of the evolving foreign policy model of Finland on the context of the Korean Peninsula looking forward to a transformational process into an alternative security and cooperation 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