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현대소설에 나타난 문신의 여러 유형을 살피고, 그것들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밝혀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크게 세 가지 항목으 로 나누어 문신의 의미를 특징화했다. 문신은 저급한 문화가 아니라 한 나라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 유용한 기호로 읽히고 있다. 이에 음지의 영역으로 배제되어왔던 기호를 양지로 끄집어내서 분석하는 작업은 의 미가 있었다. 먼저 일탈과 금기시된 욕망의 표출에서는 김영하의 「비상구」, 박범신의 『은 교』, 한강의 「몽고반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김영하의 「비상구」에서 인물 들은 당면한 현실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을 ‘화살표’(비상구) 문신으로 표출하였다. 한강의 「몽고반점」에서는 처제의 몽고반점에 강렬한 성욕을 느끼고, 그 이미지에 빠져 처제를 욕망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박범신의 『은교』에 서 몸에 새긴 ‘창’은 이적요에게 새 생명을 부여하는 기호로, 주체를 살아있게 만드는 욕망의 동인으로 은유화되었다. 두 번째로 문신을 통해 드러난, 도구화된 인간의 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안보윤의 『악어떼가 나왔다』와 천운영의 「바늘」을 들어 설명했다. 먼저 『악어떼가 나왔다』에서의 문신은 자기 아이들의 몸을 철저히 도구화하는 부모 들의 비정함을 상징화한 기호로 작용했다. 자신의 아이를 잃어버리지 않겠다 는 부모의 강인한 의지 때문에 아이들의 몸은 도구화되었다. 천운영의 「바늘」 에서는 남성 중심의 사회 구조 속에서 강한 남성이 되고자 자신의 몸에 흠집을 내고 그 안에 바늘을 새기는 것을 보았다. 또한 도선우의 『스파링』에서도 타자 와 싸우기 위해 스스로 강인함을 표출하고자 문신을 새기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기모멸적 형벌과 존재 증명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자기모 멸적 형벌은 문순태의 『문신의 땅』에서 드러났다. 곧 양공주의 몸에 새겨진 문 신들은 미군의 폭력이며, 당시 미군에게 당했던 전후세대 한국인의 삶을 대변 하는 몸이자 상흔으로 상징화되고 있었다. 또한 김경욱의 「99%」에서 ‘닻’ 문신 은 스티브 킴의 정체를 확인시켜주는 매개로 작용함을 보았고, 최제훈의 「현장 부재 증명」에서 원숭이 문신은 살인사건 속에서 자신의 정체를 완벽하게 드러 내는 기호로 작용함을 보았다. 문신이란 인간의 몸을 상징적으로 디자인하는 기호다. 따라서 문신이 새겨 지는 순간, 그 육체는 또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되고, 타인의 시선에 의해 새롭게 해석되기도 한다. 이에 문신은 자기 자신은 물론 타자의 시선을 붙잡는 기호이 기도 하다. 신체라는 스케치북 위에서 영구적 혹은 반영구적으로 의미가 새겨 지는 것이기에 새로운 아이덴티티를 (재)구축하는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fferent types of tattoos portrayed in modern Korean novels and their meanings. In order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tattoo in Korean literature, I have divided this paper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 Korean novels The Exit by Kim yeong-ha, Eun-kyo by Park Bum-shin, and Mongolian Spot by Han Kang, all explore themes of deviance and forbidden desires. In Kim yeong-ha’s The Exit , characters who express their desire to escape from reality are marked with “arrow” (i.e., exit) tattoos. Han-Kang’s Mongolian Spot portrays a main character who feels strong sexual desire because of sister-inlaw’s Mongolian Spot. In Park Bum-shin’s Eun-kyo , Lee jeok-yo’s tattoo symbolizes the creation of new life and becomes the main character’s raison d’etre. The second section of this paper is concerned about the tattoos which are instrumentalities at the human body. In order to elucidate this meaning, we examined Ahn-Bo-yun’s A Group of Crocodiles Came Out and Cheon Un-young’s The Needle. In A Group of Crocodiles Came Out , tattoos function as a symbol for parents who thoroughly “tool” their children’s bodies. Because the parents in the novel demonstrate a strong determination not to lose their children, the children’s bodies also function symbolically as tools. Cheon Unyoung’s The Needle , which takes place in male-centered society, features a character who tattoos a needle on his body to make him look like a strong man. Do Sun-wo’s The Sparring also includes a description of the main character’s tattoo to express his strength when he is fighting others. The last section of the paper focuses on tattoos as selfpunishment and proof of existence. For instance, in Mun, Sun-tae’s The Land of Tattoo , No-maria’s tattoo symbolizes the violence of the U.S Military, while the “anchor” tattoo in in Kim Kyung-wook’s The 99% confirms the character Steve Kim’s identity. Similarly, in Choi Je-hun’s An Alibi , the monkey tattoo functions as a symbol that reveals the characters’ true identities. From these analyses,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 tattoo is a symbol of the human body’s design from the beginning: when a body is tattooed, it takes on new meaning. Usually, a tattoo in fiction has various meanings, but due to its semi-permanent nature, it often functions as a symbol of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