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禮記』에 나타난 別子와 絶宗觀念을 분석하여, 君權을 강화하려고 했던 일련의 사상적 흐름을 규명하는데 주된 목표를 두고 있다. 戰國時代를 거치며 儒家는 專制王權에 걸맞은 政治體制를 모색하였다. 『禮記』에서는 春秋戰國時代의 혼란을 바로잡기 위해, 上下의 위계질서를 구축하려고 했고, 그 연장선에서 宗主와 族人, 大宗과 小宗의 구분을 엄격히 하는 宗法制의 복원을 제창하였다. 『禮記』에서 嫡長子와 庶子, 宗子와 支子 등에 대한 차별적 禮制를 다양하게 기록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周代의 宗法制는 代數가 늘어남에 따라 혈연의식의 약화라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 바로 別子와 絶宗觀念이다. 別子는 君王의 嫡長子를 제외한 나머지 아들 중 別子의 명령을 받은 자를 뜻한다. 이들은 君王의 가문으로부터 독립하여 자기 가문의 始祖가 된다. 그리고 別子의 嫡長子는 大宗의 지위를 갖게 되며, 나머지 자식들은 小宗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각각의 혈연집단을 통합하고 결집하는 역할을 한다. 君王은 宗統으로 別子의 大宗 위에 군림하는 초월적 존재이다. 따라서 別子의 大宗과 小宗들은 君王대신 宗子의 역할과 책무를 시행하고, 혈연적으로 宗統인 君王에게 영원히 복종해야 하는 의무를 갖고, 동시에 신하로서 군주에게 복종해야 하는 당위적 의무도 갖는다. 絶宗은 族人들이 君王을 친족으로 여길 수 없다는 관념이다. 君王에게 있어 族人들은 同姓의 신하들이자 族人으로 분류되어 혈연적 유대는 유지되지만, 君王을 제외한 나머지 族人들은 君王에 대한 혈연적 유대를 앞세울 수 없다. 이것은 君王의 친족이 혈연관계를 내세워 친압할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別子와 絶宗觀念은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통치체제를 구축함과 동시에 君臣관계를 혈연관계보다 상위에 배치시킴으로써, 혈연의식이 약화되더라도 君臣관계는 영원히 변하지 않음을 강조한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deas of “additional sons“ (byeolja 別子) and ”cutting off the lineage” (jeoljong 絶宗) in the Book of Rites and thereby investigating the trend to strengthen the power of the lord. Going through the Warring States period, Confucians sought to establish a political system that fit the new imperial ruling system. The Book of Rites shows the Confucian attempt to rebuild a hierarchy between the higher and lower and the a descent-line heir system (chongpŏpje 宗法制) to distinguish between the greater and lesser lines in order to create an order from the chaos during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nd the Warring States period, This is why the Book of Rites contains various ritual examples that distinguish the eldest son of the main line from other sons, and the son of the most senior line of descents from others. The consciousness of bloodline that is essential to the descent-line heir system of the Zhou dynasty weakened as generations passed. The ideas of byeolja and jeoljong were developed to overcome the weakening consciousness. The lord appoints one of his sons who are not the eldest of the main line in the name of byeolja. Byeolja becomes independent from the lord family and establishes his own line (始祖). The eldest son of the byeolja attains the status of the greater line, and other sons of the lesser lines. Byeolja calls together and unifies each consanguineous group. In the system, the lord is a transcendental being as the righteous successor of the descent line and he rules over the greater line. The greater line and the lesser lines of the byeolja, therefore, take the roles and duties of the eldest son of the descent line. The descendents of the byeolja has a duty to submit themselves to the lord-king forever as the descendents of the lord’s consanguineous group, and at the same time, they must obey the lord-king as ministers. Jeoljong shows the idea that the people of the lineages cannot consider the lord-king as a family member anymore. By the jeolgjong, the lord-king keeps a consanguineous bond with the members of the lineage and the lord-minister relationship. The members of the lineage, however, cannot claim the consanguineous bond with the lord-king. The idea of jeolgjong prevents the possibility of becoming too close. The byeolja and jeolgjong restructured the ruling system based on family bond, while placing the lord-minister relationship higher than the family relation. As a result, the two concepts stressed the ideology that their lord-minister relationship does not change forever even generations pass and thereby weakening the consanguineous conscious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