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960년대 한낙원의 『우주항로』와 『금성탐험대』를 중심으로 당대 아동청소년을 위한 과학 소설에서 남성성이 어떻게 구성되고 이미지를 형성하였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1950-60년대는 미소냉전 체제를 중심으로 우주 개척에 대한 열광, 유행, 최면(催眠)이라고 할 수 있는 대중들의 욕망이 영화,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과 잡지등의 인쇄 매체에서 과학소설의 형식으로 유통, 소비되었다. 아동청소년을 위해 창작된 과학소설에서는 우주개척에 대한 팽창주의 욕망이 발동하면서 두 가지 서사적 특징이 드러난다. 첫째, 과학소설에서는 팽창주의 욕망과 소년영웅의 귀환을 통해 강인한 남성성을 재구축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는 점이다. 과거 제국주의적인 남성성의 문화가 병사와 영웅의 이미지로 남성성의 문화를 구성했다면, 1950년대 후반에는 전쟁의 폐해로 인해 남성성이 위축되면서 병사와 희생자(불구자)의 이미지로 변모하였다. 그런데 1960년대로 오면 과학소설을 통해 소년영웅이 귀환하고 팽창주의 욕망이 드러난다. 다만 모험의 장소가 지구에서 우주(화성과 금성)으로 공간을 이동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불완전한 타자들과의 분리를 통해 완전한 남성성의 이미지를 구축하고 남성중심의 문화를 강화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과학소설에서 여성은 통신원과 같은 부차적인 인물로만 기능하며, 이들은 외계인(敵)에게 갇힌 몸이 되거나 우주선에서 기다리는 역할을 하는 수동적인 여성상으로 존재한다. 특히 여성인물들은 적에게 납치되어 남성들이 여성을 구출하기 위해 적진까지 침입하는데 죽음을 각오한 투쟁을 통해 지도자적 남성성이 강조된다. 또한 외계인은 위대한 문명을 건설했음에도 불구하고 ‘늙은 개구리’나 디즈니에 나오는 ‘오리’ 같은 우스꽝스럽고 징그러운 동물적인 이미지로 비하된다. 이는 고결한 남성성을 강조하기위한 것으로 여성과 외계인을 타자화한 것이다. 1960년대 급속한 산업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강한 남성성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팽배하였다. 이는 과학소설에서 우주에 대한 팽창주의 욕망과 함께 강인하고 완전한 남성성을 문화적으로 이미지화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an Nak-won’s 『Woojuhangro』 and 『Geumseongtamheomdae』 to see how the aspects of masculinity were constructed culturally in children’s science novels of the time and how they formed images then. In the 1950’s to 60’s when there was the Cold War between the US and the Soviet Union, the public’s desire that could be summed up as enthusiasm, trends, and hypnosis about pioneering the universe was distributed and consumed in the forms of SF through newspaper or magazine’s articles, movies, the television, radio, or printed media. As children’s SF narratives triggered expansionistic desire about pioneering the universe, two narrative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then. First, with expansionistic desire and the boy hero’s return, they tried to reestablish powerful masculinity culturally. Previously, the imperialistic culture of masculinity constructed the culture of masculinity with the images of solders and heroes, but the 1960’s, masculinity got withered due to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war, and their images were changed to solders and the handicapped. In the 1960’s, however, boy heroes returned through SF novels, which revealed expansionistic desire. Yet, it was just about the change of places for adventure from the Earth to the universe, for example, the Mars and Venus. Second, through separation from incomplete others, they tried to establish the perfect image of masculinity and reinforce male-oriented culture. In SF novels, women function as an auxiliary character like a correspondent and exist as a passive female image playing roles as a being either trapped by alien enemies or just waiting in the spaceship. Particularly, when the female characters are kidnapped by the enemies, men penetrate deep into the enemy’s position to save them, and here, through their struggle in spite of death, their masculinity as a leader is highlighted. Also, although they have achieved great civilization, aliens are depicted there as either ridiculous or gross animal images, for instance, ‘an old frog’ or ‘a duck’ in Disney. This is to stress the nobility of masculinity by describing the images of women and aliens as others contrastively. As examined above, in the 1960’s, there was an overflowing social atmosphere demanding powerful masculinity to promote industrialization as rapidly as possible. In fact, SF narratives contributed to creating the images of expansionistic desire towards the universe as well as complete and powerful masculinity culturally t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