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16년 구한말 개창된 원불교는 당시 유교의 봉건적, 시대착오적인 부분을 개혁하고 가장 순수하고 본질적인 유가의 핵심을 발전적으로 수용하는 데 성 공했다. 내부적으로는 물질문명과 기술문명이 심각한 정신심리학적 질병을 낳고, 외부적으로는 중국이 국가가 동원한 복고 유학의 바람을 거세게 몰아치 는 요즘, 지금 한국사회엔 원불교의 이 작업을 조명하고 계승하는 일이 요청된 다. 본 연구는 우리 한국사상이 전통적으로 추구하고자 했던 정신의 수행매체 로서의 도상에 주목해 시작됐다. 이를 위해 퇴계(退溪)의「 천명도(天命圖)」와 소 태산(少太山)의「 교리도(敎理圖)」를 비교 연구했다. 이들 도상은 원형(동그라미)과 방형(네모)으로 표상됐다는 특성에서 유사성이 두드러진다. 특히 이 방원형상 은 조선성리학(특히『 주역』적 관점)에서 하늘과 인간 심성이 합치되는 천인합일 (天人合一)적 특징을 드러내는 독창적 상징이라는 점을 주장한 후, 이 도상의 특 징은 300여 년의 시간적 차이를 뛰어넘어 원불교를 창시한 소태산 대종사의 「교리도」에서 면면히 이어지고 있음을 제시한다.「 교리도」는 일원상에서 한 국사상이 발전시켜왔던 원형의 태극 철학을 계승했을 뿐 아니라 일원상을 둘러싼 신앙문과 수행문의 양대 축 그리고 사은사상을 통해 방형(네모)를 형상화 하며 수행에 필요한 마음공부의 특성을 고루 부각시킨다. 이는「 천명도」가 경 (敬)을 중심에 두고 이를 일상 속에서 견지하도록 하는 매체였다는 사실과 동 일하다.


Won -buddism, which was founded at 1916, successfully reformed the feudal and anachronistic parts of Joseon Confucianism and protected the core of the most pure and essential of it. Korean society is now asked to shed light on and continue the work of Won -Buddhism. Because looking at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the crisis is growing in and out of the country: material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s cause severe psychophysical diseases and externally China is pushing for the recovery of the nation's power by studying Confucianism again.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pedigree of Korean thought as a symbol(diagram) of the spirit that Korea has traditionally pursued. For this purpose, Cheonseongdo of Toegye(1501-1570) and The Doctrinal Chart of the Great Master of Sotaesan(1891-1943) were compared. These diagrams are more similar in their characteristics in that they are represented by circles and squares. In particular, after asserting that this figures as ‘circles and squares’ is a unique form in Joseon neoConfucian philosophy, because it represent the natural harmony between the heavens and the human mind. and it continues to extend beyond the 300-year-old time gap in the The Doctrinal Chart by Sotasan, the founder of Won -Buddhism. Il-Won Dharmakaya Buddha in the The Doctrinal Chart not only succeeded in the original diagram Taegeukdo which has 5 circles in it, but also the big immanent circle in Chonmyungdo. and Fourfold Grace embellishes the shape of the square which is the main Theory of the Four Beginnings in Confucianism. Above all, the both pillars of faith and practice high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mind-practice required to perform in proportion. This is the same as the fact that Chonmyungdo was a medium in which Gyeong(Mindfulness) was situated at center and maintained in daily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