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2017년에 공개된 함안 성산산성 17차 발굴조사분에 대한 판독과 해석을 포함하여 함안 목간에 대한 언어문화사적 연구의 일환으로 작성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신출토 목간 21점에 대한 판독 및 해석안을 도출한 후(Ⅱ장), 이들을 포함하여 함안 목간에 대한 국어사적 의의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하였다(Ⅲ장). 2장에서는 신출토 함안 목간 21점에 대한 정밀 판독 및 해석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논의 결과 ①5583호의 제7자를 ‘斯’자로 판독한 점, ②5589호의 1행 제7자를 ‘奴’자로 볼 가능성을 제시한 점, ③5595호에서의 ‘甘文城下麥’ 부분을 “甘文城 (근처)에서 난 보리”로 해석한 점, ④5598호에서의 2면 제6자를 ‘等’자로 판독함과 동시에 전체 해석안을 문맥에 어울리게 수정한 점 등에서 판독 및 해석상의 새로운 안을 제출할 수 있었다. 3장의 논의에서는 함안 목간 전체를 대상으로 국어사적 의의에 대한 고찰을 행하였다. 첫째, 음운사적 측면에서는 ‘仇利伐’↔‘丘利伐’, ‘發’↔‘負’, ‘-支’↔‘-只’, ‘本波’↔‘本彼’ 등의 이표기들을 중심으로 신라한자음의 양상을 살핀 바, 함안 목간 제작 당시의 신라한자음이 舊音과 新音이 공존하는 重層的 체계를 이루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둘째, 문법사적 측면에서는 ‘-之’, ‘-中’, ‘-下’의 사례들을 중심으로 당시의 이두 발달의 정도가 초기 상태였던 것으로 결론지었다. 셋째, 어휘사적 측면에서는 말음첨기의 표기례들을 중심으로 ①단위명사 ‘石’[셤], ‘斗’[말], ‘發’[*발], ②보통명사 ‘負’[짐], ‘文尸’[글], ‘糸利’[*시리>실], ‘稗’[?피], ‘麥’[보리], ‘米’[*ᄇᆞᄉᆞᆯ>쌀], ③동사류 ‘持去’[가져(?) 가다>가지고 가다], ‘去之’[가다], ‘作’[짓다>빚다], ‘有’[잇다/이시다>있다], ‘白’[ᄉᆞᆲ다>사뢰다/아뢰다] 등의 어휘들이 실재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Wooden Documents of Seongsansanseong Fortress at Haman(WDSH) in a historical-cultural and linguistic perspectiv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I attempted to draw a new decipher and interpretation for 21 pieces of 17th excavation of WDSH revealed in 2017(chapter 2) and to shed new light on historical values of WDSH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chapter 3). In Chapter 2, I have elaborated some decipher and interpretation for 17th excavation of WDSH as follows: ① 7th letter of No. 5583 as ‘斯’, ② 7th letter on 1st line of No. 5589 as ‘奴’, ③ interpreting ‘甘文城下麦’ as “barleys produced near Gammunseong castle” of No. 5595 etc. In Chapter 3, I have examined the historical values of WDSH in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First, in the phono-historical aspect, the multilayer of Sino-Silla pronunciations at that time was assumed from some allo-notational materials such as ‘仇利伐’↔’丘利伐’, ‘發’↔’負’, ‘-支’↔’-只’ and ‘本波’↔’本彼’↔’本破’. Second, in the grammato-historical aspect,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Idu was identified in its early stage, focusing on the examples of ‘-之’, ‘-中’ and ‘-下.’ Third, in the lexico-historical aspect, the existence of lexemes such as ‘石’[셤/syeom; ≑180 liters], ‘斗’[말/mal; ≑18 liters], ‘發’[*bal/발; round](unit nouns), ‘負’[짐/jim; baggage], ‘文尸’[글/geul; writing], ‘糸利’[*시리/siri; thread], ‘稗’[?피/pi; echinochloa crus-galli], ‘麥’[보리/bori; barley] and ‘米’[*ᄇᆞᄉᆞᆯ/bʌsʌl; rice](nouns), ‘持去’[가져(?) 가다/gajyeo ga-da; take away], ‘去之’[가다/ga-da; go], ‘作’[짓다/jis-da; make, brew], ‘有’[잇다/is-da; be] and ‘白’[ᄉᆞᆲ다/sʌrb-da; tell politely](verb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