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사회는 2016년 겨울부터 2017년 봄까지 대규모 평화시위를 통해 대통령을 파면시키는 유례없는 역사적 경험을 한 바 있다. 학계에서는 촛불집회가 한창 진행 중이던 2017년 초부터 이 운동의 성격과 의미에 관한 논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쟁에는 다양한 쟁점들이 있지만 이 글은 크게 두 가지 쟁점에 주목한다. 하나는 시위의 주체와 정치적 지향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들이 추구한 것이 직접민주주의인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논쟁의 연장선에서 더 최근에는 68운동 50주년을 계기로 촛불운동의 새로운 성격을 강조하면서 유럽의 68운동과 연결시켜보려는 시도들이 있다. 이 글은 50년 전 일어난 68운동과 대비되는 한국 촛불운동의 성격에 관한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면서, 68운동이 촛불 이후 한국 사회에 던지는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양자 간에는 근대성, 특히 근대 국가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 상반된 지향이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an unprecedented historical experience of dismissing the President via large-scaled peaceful demonstration lasting from the winter of 2016 to the spring of 2018. From the early 2017 when the candlelit rallies were at their peak, the academic circle has continued its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is movement. There are diverse issues in the discussion, however this study focuses on 2 points of the movement: One is who the subject and what the political aim of this rallies was; and the other is whether what they pursued was direct democracy or not. in line with the discussion, and furthermore, in commemo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68 Movement, there have been efforts to relate the candlelit rallies with 60 Movement while emphasizing on the new characteristics of the rallies. This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ndlelit rallies in comparison with 68 Movement which took place 50 years ago, and suggests the implications which 68 Movement casts to the Korean society after the rallies. In the proc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 in the goals between the two movements regarding modernity, particularly the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the notion of modern 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