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제1차 한류’의 시대라 할 수 있는 1970년대와 80년대에 한국의 대중가요가 일본에 소개되어 히트한 대표적인 곡들의 가사를 텍스트로 하여 원가사와 일본어 번역의 비교 분석을 통해 양 언어 간 교섭 양상을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해보려는 시도였다. 일본과의 문화 교류에서 ‘수입’이 없는 ‘수출’만이 가능한 시대였던 이때에 한국어 가사가 일본어로 ‘어떻게’ 번역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언어 표현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가슴 아프게> <돌아와요 부산항에> <이별>의 원곡과 번역곡은 ‘바다’를 매개로한 이별을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앞의 두 곡은 주로 한국에서 일본으로 떠난 이별로 받아들여졌다. 마지막 곡은 그러한 특정 사항이 없다. <가슴 아프게>는 한국의 대중음악과 가수를 ‘엔카의 원류’와 관련한 상업적 홍보 전략과 함께 의도적인 불완전번역으로 효과를 거두었다. <돌아와요 부산항에>는 역사적 맥락에서 탄생한 원가사를 인간적 정감으로 번역하여 호소력을 갖추었다. <이별>은 한 천재의 언어적 조탁을 통해 양국의 대중이 국경과 언어를 초월하여 공감할 수 있는 명곡을 완성했다. 일본어 대중가요는 1998년 문화개방 전까지 한국에 공식적으로는 수입되지 못한 만큼 한국어로 번역되는 일은 거의 없었으나 동시대 한국 대중음악인들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다. 이에 반해 한국어 대중가요는 전전부터 그래왔듯이 전후에도 일찍부터 일본에 진출해 일본 대중가요의 일부분을 구성하면서 일본의 대중음악을 풍요롭게 만들어주고 있었다. 이제는 한일 양국의 모든 대중음악 장르의 보다 적극적이고 활발한 상호 번역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국과 일본 모두를 위해서. 인류 집단 간의 보다 풍부한 문화적 의미작용을 위해서.


This paper w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languages ​​in socio-cultural context by comparing the lyrics of the representative songs introduced and hit by Korean popular songs in Japan in the 1970s and 1980s, which can be called the “1st Korean wave”. At this time, when it was only possible to export without import in cultural exchange with Japan, I paid attention to the language expression of how Korean lyrics were translated into Japanese. The original song of Korean popular song was introduced in Japanese translation, and it was effective as a commercial PR strategy related to 'origin of Enka'. In some cases, the original lyrics from the historical context were translated into human sentiments and appealed to them. In other cases, excellent linguistic translations have also resulted in the completion of popular songs in which the public in both countries can transcend borders and languages. Japanese popular songs were rarely translated into Korean as they were not officially imported to Korea until the opening of the culture in 1998. On the other hand, Korean popular songs have been enriching Japanese popular music by making part of Japanese popular songs early in the postwar period. Now, more active translation of all popular music genres between Korea and Japan must be done for both Korea and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