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먼저 당의 한유, 북송 초의 구양수, 조선 초의 정도전, 명말청초의 안원 등 네 사상가들이 제시한 배불론의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해의 토대 위에서, 다음으로는 앞의 세 사람과는 달리 명말청초에 살았던 안원의 독특한 배불론의 특징을 요약해보고, 여기에 담긴 이전 배불론자들의 주장과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네 사상가들의 배불론이 지닌 이론적 틀이 유사한 체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곧, 크게는 경제, 정치, 사회 등의 유가사상 외적인 측면과 공자와 주자를 아우르는 유가사상 내적인 측면에서 각 사상가들의 배불론이 전개되었다고 요약할 수 있었다. 외적 측면의 경우 사상가들의 입장과 시대에 따라 정치 혹은 경제분야가 특히 부각되기도 하였다. 안원은 다른 세 사상가들과 달리 불교사상 혹은 불교문화 전체에 대한 비판 대신, 개개인의 승려들을 대상으로 한 회유와 협박을 병행하여 집요하게 불교로부터의 탈퇴를 강요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의 배불론이 갖는 이러한 특징은 첫째로 안원사상이 지닌 독특한 실리적, 실천적 성격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는 안원과 앞의 세 사상가들과의 사상적 차이를 들 수 있으며, 이는 안원사상이 반성리학을 토대로 형성된 것임을 지적하는 것이다.


Despi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imes and the nations, the agnosticism that we saw in this article was presented by representative figures who could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period in which sexuality was the main thought in th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East Asia Confucianism. Bae was largely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aspects of oil price history. However, each detailed argument differs in its cause analysis, purpose, and presentation of solutions. These differences are based on a certain period of time. Conditions other than oil prices have focused on politics, society, or the economy depending on who claimed them. While Han Yu, his influential professor Koo Yang-soo, and Jeong Do-jeon, also had different ideological bases for sharing and inheriting each other, the Anwon's Baebubul theory was only consistent in the big framework and larger details. This may be the biggest reason for this, given that the foundation of Ahn's ideas is introsp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