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인 295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척도,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 공포증 척도를 활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은 각각 자기자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는 유의미하게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기자비를 통해 사회불안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불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임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our typ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measured by 295 adult participant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both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compa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 and social anxiety, self-compassion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imply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not only has an indirect impact on social anxiety through self-compassion, but also a direct impact on social anxie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