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학생의 높은 주거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사학진흥재단에서는 행복(공공)기숙사를 건설하고 있다. 이러한 기숙사의 건설은 단순히 기숙사 입주 대학생들의 주거비만 낮추는 것이 아니라, 부동산 시장의 수요 감소로 이어져, 전반적인 집값을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행복(공공)기숙사의 건설에 따른 주변 대학가의 임대료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빅데이터 캠퍼스에서 제공하는 전월세가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자료는 서울시에서 공인중개사를 통해 거래된 모든 전월세 계약 자료가 담긴 자료로써, 표본자료가 아닌 전수조사 자료이다. 2015년 3월 행복(공공)기숙사를 개관한 세종대학교 지역을 실험집단으로 설정하고, 세종대와 학생 수, 기숙사 수용률이 유사한 숭실대학교 지역을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여, 고정효과를 적용한 이중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세종대학교 지역의 경우 행복(공공)기숙사 개관 이 후 임대료 상승률이 숭실대학교 지역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행복(공공)기숙사의 간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high housing cost problem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 Advancing Education Foundation is building a happy (public) dormitory. The construction of such a dormitory will not only lower the housing cost of students who live in dormitory but will lead to a decrease in demand for the real estate market, which will lower the overall house pri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rents of the surrounding colleges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happy (public) dormitory. For this, we used the real estate transaction data provided by the Seoul Big Data Campus. This data is the data of all the contracts that were traded through the real estate agents in Seoul, not the sample data, but the whole survey data. In March 2015, Sejong University, which opened the happiness (public) dormitory, was set up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Soongsil university campus with similar number of students and dormitory acceptance rate was set as a comparative group. As a result, in the case of Sejong University, the rate of rent increase after the opening of the public dormitory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area of ​​Soongsil university. In other words, there is no indirect effect of happiness (public) dormi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