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영자의 위험회피성향이 현금보유비율과 가업가치와의 관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주목하고 있고 동시에 이러한 영향이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집단과 취약한 집단에서 차별적으로 발생하는지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기간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이며, 유가증권 상장기업 중 비 금융업에 속하는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네 가지 차원에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수익성이 좋은 전문경영자 기업이 다른 기업에 비하여 위험회피성향이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수익성이 좋은 전문경영자 기업에서 위험회피성향이 높은 경우 대리인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이러한 기업에서 위험회피성향에 따른 현금보유의 가치는 반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지배구조가 우수한 집단에서는 현금보유가치가 반감되지 않았으나 기업지배구조가 취약한 집단에서는 현금보유가치가 반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동종 산업 대비 수익성이 좋은 전문경영자 기업에서 위험회피성향이 높은 경우, 경영자의 특권적 소비와 비효율적인 자산운용으로 인해 대리인비용이 높게 발생하고 있고 투자자들은 이러한 기업에 대하여 보유현금의 가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수익성이 좋은 전문경영자 기업에서 위험회피성향이 높은 경우 대리인비용이 높게 발생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대리인비용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탐지하는 측면에서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투자자들이 이를 탐지하여현금보유의 가치평가에 반영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리인비용의 감소와 현금보유가치를 증가시키기 위한 경영자 및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중요한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s whether a manager’s risk aversion tendency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cash holding and firm valu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four stages. The sample is obtained from firm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from 2011 to 2017. We conduct four empirical analyses. First, for total sample, we examined which companies are highly risk averse. Second, we examined whether firms with higher risk aversion tendency have higher agency costs. Third, we verified whether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sh holding and firm value is weakened if a manager’s risk aversion tendency is high. Finally, we verified whether such a relation is different by corporate governance. First, a highly profitable professional CEO firm shows high risk aversion tendency. Second, for a highly profitable professional CEO firm, the higher the risk aversion tendency, the higher the agency costs. Thir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cash holding and firm value is weakened in firms with high risk aversion tendency. Finally, such a relation differs from the difference of govern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managers and investors’ cash holding decision-makings, by verifying that investors detect and reflect this in the valuation of cash hol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