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연구 62건을 대상으로 연도별, 학술지별, 연구방법별, 학교급별 및 초록키워드 및 대표 용어 사용의 빈도 분석을 통한 기초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주요 연구주제영역을 분류하여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에 관련된 연구의 흐름과 그 방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에 대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문헌연구와 양적연구의 비중이 컸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가 가장 비중이 컸으며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낸 초록키워드로는 ‘학업성취’였으며 개념과 영역을 명시해주는 대표 용어 사용에 있어서 학교교육활동참여 부분이 부각되어 있었다.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는 개인적인 욕구를 넘어 공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지만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에 있어서 자녀에 대한 학업 성취도에 대한 문제가 주요 관심사이었으며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는 여전히 교사들에게는 부담이지만 조금씩 학부모 참여의 학교를 중심으로 한 지역 관계적 영역이 확대되는 흐름을 반영하여 마을교육공동체 차원으로서의 학부모 교육 참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62 study cases of parents school education participation were studied in order to identify trends in basic research through annual, Journals, research methods, school levels, and frequency analysis of the use of g key words and topics. More and mo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 school education, and literature and quantitative research have been heavily conducted. By school level, the study of elementary school was conducted the most. And the most frequent keyword was ' academic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was highlighted in terms of concept and territory. Parents '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is defined as a public level beyond individual desires, but the issue of academic achievement for children in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 school education has been a major concern. Parents '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is still a burden to teachers, but research should be made actively on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as part of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reflecting the growing tendency of local areas of school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