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KBS는 국영방송, 또는 실질적 국영방송으로 오랫동안 운영되었으므로, 그 잔재가 아직도 방송 체제와 성격에 남아 있다. 따라서 민주사회의 공공성을 추구하는 언론으로서 자리를 잡으려면, 부정적인 과거 유산을 반성하고 청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현대 한국 방송의 틀을 형성한 미군정의 라디오 방송 관리의 정책과 제도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미군이 방송을 미국정부와 군정의 메시지를 전파할 매체로 만들겠다는 의도를 가지고 방송국을 접수하고, 조선방송협회와 함께 군정기구로 만들었던 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한국인 방송국 직원은 이런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살펴봄으로써 언론으로서 방송의 성장이 지체된 원인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군정은 일제 총독부가 확립해 놓은 이원적 방송관리체제를 거의 그대로 이어받았고, 더욱 효과적인 통제를 위해서 관리제도를 강화하였다. 특히 미국인 고문은 일본식 방송 시스템을 미국식으로 전환하고, 정부통제를 받는 국영 선전기관으로서 방송의 기능과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군정이 종료되기 직전에 방송체제를 접수 이전 상태로 되돌려 놓았으나, 3년 동안 군정의 통제와 관리 아래 선전매체로 충실히 복무하였던 방송의 체제와 체질은 새로 수립된 한국 정부에 그대로 전수되었다. 연구를 통해서 일제강점기와 군정기와 정부수립 이후 한국 방송의 구조와 성격은 강한 연속성을 지닌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Since KBS has been operating for a long time as a state-owned broadcasting or an actual state-run broadcasting, its remnants are still in the broadcasting system and character. Therefore, in order to take a position as a media to pursue the publicness of the democratic society, it is necessary to try to reflect and settle the negative past heritage. In this sense, I tried to understand the policies and system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s radio broadcasting administration and control that formed the framework of modern Korean broadcasting. First, I examined the process that the US military made broadcast stations and Chosun Broadcasting Corporation into a military government organization with the intention of making the media a source of pro-American and anti-communist messages. Also, by looking at how Korean broadcasters have taken this situation, I tried to understand why the growth of broadcasting was delayed as a journalistic institution. The military government took over the dual broadcasting control system establish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strengthened the management system for more effective control. In particular, American advisers have transformed Japanese-style broadcasting systems into American-style, and have contributed to strengthening the function and identity of broadcasting as a state-run propaganda agency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Although the broadcasting system wa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just prior to the end of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he system and constitution of broadcasting, which had been faithfully served as propaganda media unde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the military for three years, were passed on to the newly established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shows that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Korean broadcasting have a strong continuity aft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military rule, and the new Korean gover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