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적자회피 의심기업이 적자회피를 위한 이익조정을 할 때 재량적 발생액과 실물활동 이익조정 중 어느 것을 이용하는지를 확인하였으며, 적자회피 의심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 간에 이익지속성 및 현금흐름지속성 계수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적자회피 의심기업은 이익분포도를 이용하여 판단하는 Burgstahler et al.(1997)의 방법론에 의하여 분류하였고, 재량적 발생액은 Kodari et al.(2005)의 성과대응 모형에 의하여 추정하였으며 실제이익조정은 Roychowdhury(2006)의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적자회피 의심기업들에 대한 재량적 발생액()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실물활동 이익조정()의 회귀계수는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적자회피 의심기업의 이익지속성 계수는 그렇지 않은 기업의 이익지속성 계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금흐름지속성 계수 또한 적자회피 의심기업이 적자회피 의심기업 이외의 기업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회피 의심기업들의 재량적 발생액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실물활동 이익조정 측정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분석결과에서 볼 때, 적자회피 의심기업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하여 재량적발생액을 이용한 이익조정보다 실물활동 이익조정을 보다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자회피 의심기업의 재량적발생액과 실물활동 이익조정 모두 이익지속성과 현금흐름지속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one is to find out whether the companies that are suspected of avoiding losses(CSAL) use the discretionary accruals(DA) or real earnings management(REM). The other is to investigate to see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s of earnings persistence and cash flows persistence between CSAL and non-CSAL. CSAL was chosen by the method Burgatahler and Dichev(1997) used, whereas DA and REM were selected by those methods used by Kodari et al.(2005) and Roychowdhury(2006),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DA for the CSAL shows no significant effect, whereas the coefficient of REM has a significant effect. And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earnings persistence for CSAL was lower than that of non-CSAL. Furthermore, the regression coefficient of cash flows persistence for CSAL was lower than that of non-CSAL. Through this analysis, we learned that CSAL tends to use the REM rather than DA, and DA and REM had a negative impact on cash flows persistence as well as earnings persis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