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수궁경회록>과 <용당영회록>은 글을 잘하는 선비인 주인공들의 불우(不遇)를 문제 삼은 작품이다. 그런데, 이들 주인공이 불우(不遇) 의식을 해소하는 방식은 <수궁경회록>과 <용당영회록>에서 다르게 나타난다. <수궁경회록>에서는 주인공 여선문이 용왕에게 초청되어 글재주를 인정받는 상상적 보상 체험을 통해 불우 의식을 해소한다. 반면, <용당영회록>에서는 주인공 문인자술이 용궁에서 오자서(伍子胥), 범려(范蠡), 장한(張翰), 육구몽(陸龜蒙) 등의 회고담을 듣고 현실에 대한 자신의 이념을 변화시킴으로써 불우 의식을 해소한다. 한편, <용궁부연록>에서는 <수궁경회록>의 대면 형식과 <용당영회록>의 이념 체계를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주인공이 용왕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변화시켜가는 환상적 심리 체험을 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용궁부연록>에서는 <수궁경회록>의 대면 형식을 수용하여 주인공 한생과 용왕의 대면 형식을 창출하는 한편, <용당영회록>의 주체 형식을 수용하여 타자인 용왕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변화시키는 능동적 주체로서 한생의 형상을 창출한 것이다. 이렇게 주인공 한생이 용왕과 용궁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변화시킴으로써 용왕을 인정하는 과정을 그린 <용궁부연록>은, 작가 김시습이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한 세조를 군왕으로 용인하는 이념적 변화 과정을 우의한 것이다.


The main characters of Sookoong Kyunghoerok(수궁경회록) and Yongdang Yunghoerok(용당영회록) are good writers but they never have been recognized their ability in real world. And they are recognized in dragon palace which is the fantastic word. In the Sookoong Kyunghoerok(수궁경회록) the hero Yeu Sunmoon, has invited to dragon palace and write the address of palace construction. And receive gifts from king of dragon. But in Yongdang Yunghoerok(용당영회록) the hero Mooninzasool(문인자술) has invited to dragon palace and meet the great peoples as Ozaseo(오자서), Bumryu(범려), Janghan(장한), Yukgumong(육구몽). And with taking their story of themselves, he change his own thinking about his own life. Then he became feel happy. In Yonggoong Booyunrok(용궁부연록) the writer accept the face-to-face format of Sookoong Kyunghoerok(수궁경회록) and ideological system of Yongdang Yunghoerok(용당영회록). So the main character is depicted as having a new type psychological experience. With this psychological experience the main character changes his mind about the dragon king and admits the dragon king. The psycholgical process of Hansaeng(한생) who admits the dragon king means the process of ideological change of writer Kim Shiseop(김시습). With that ideological change Kim Shiseop(김시습) admits Sejo(세조) as his 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