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시뮬레이션 실습은 임상실무현장과 같은 상황을교내에서 가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흡연대상자에게 의사소통능력을 재현을할 수 있는 표준화 환자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실습을 적용한 후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임상판단능력, 학습만족도와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간호대학생을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으로 시뮬레이션 적용 후 효과를 보기 위한 단일군 유사실험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흡연지식도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실습 전과 실습 후의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임상판단능력, 학습만족도는paired t-test, 측정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위해서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다.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임상판단능력, 학습만족도는 각각유의하게 나타났다. 시뮬레이션 실습 후 각 측정 변수의 상관관계에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임상판단능력((r=.619, p=.000), 학습만족도(r=.557, p=.000) 간의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임상판단능력과 학습만족도는 (r=.752, p=.000)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보였다. 본 연구결과 임상현장에서 충분히 실습하지못한 부분을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해 학습하는 것이유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임상상황을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실습의 효과를 측정하는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 module using the standardized patients' performance confidence caring for smoker. Methods: The stduy used participated one-group pre-test and post-test study design for a single group used 38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imulation module for the smokers learning during their smoking and developed a case scenario for the smoker. The simulation practice was provided 3 times in total 6 hours, and includes a group discussion before the simulation and after the simulation as a debriefing. Results: After the simulation was compared with the pretest Communication Self-Efficacy, Clinical Judg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fter the Simulation Practice significant positive Communication Self-Efficacy, Nursing Process 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Simulation Practice was successful for nursing students in the nursing care of smoker. In the future researchs it will be need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simulation practice based on various clinical situ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