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60-70년대 한국의 경제발전을 설명하는 주류 이론으로서 발전국가론은 국가관료제 내부의 내적 역동성과 환경변화에 따른 정책 변동의 메커니즘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는 대안적 접근법으로서 다양한 정부기관과 민간 참여자로 구성되는 산업정책 네트워크를 도출하고 외부적 정책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산업정책 네트워크의 ‘행위자’와 ‘정책이슈’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73년 제 1차 석유파동 전후의 수출진흥확대회의와 월간경제동향보고회의의 녹취록을 사회연결망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석유파동 전후로 정책네트워크 참여자의 수와 다양성 증가, 주요 경제부처의 네트워크 지위의 변화, 주요 정책이슈의 변화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대통령, 상공부, 경제기획원 등 중심 행위자의 네트워크 지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산업정책 추진을 위한 제도개선 이슈가 일관되게 강조된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발전국가의 내적 역동성과 국가운영의 연속성 간의 변증법적 결합의 이론적 함의를 제시했다.


Developmental state theory has not been sufficient to account for internal dynamics in the bureaucracy and the policy change mechanisms in accordance with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in 1960–70s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dynamics in industrial policymaking so as to supplement developmental state theory, based on how actorsand issuesin the network were changed by the first oil shock. This study employed social network analysis. The industrial policy network was imported via the transcripts of two big meetings: “Monthly Enlarged Meeting for Export Promotion” and “Monthly Economic Issues Briefing Meeting.” After the first oil shock,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diversity of network actors, a change in network positions, and a change in central policy issues appeared in the network. On the other hand, the major, central public actors—the president, the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the Economic Planning Board—maintained their positions in the network in spite of the external shock; the issues relating to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the industrial policies were stressed continuously.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illustrates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 of dialectical fusion between internal dynamics and administrative contin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