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북방언을 포함한 국어 어휘 10여 항과 그에 대응하는 만주퉁구스어 및 몽골어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그들 어휘의 지리적 분포에 대한 해석을 꾀하였다. 지리적 분포는 네 유형이 있다. 첫째, 동북방언에 분포하는 ‘가랖(갈잎)’, ‘꼬지깨덩지[草坯子]’로서 모두 차용어다. 이 두 단어는 두 언어가 결합한 混種語다. ‘가랖’은 ‘갈[樫]+앞[葉]’으로 분석된다. ‘앞’은 女眞譯語 abuha, 나나이어 abaha 등과 어원이 같다. ‘소앞’(솔가리)의 ‘앞’도 그와 같다. 둘째, 북부방언에 분포하는 ‘타내/타니/월귀탄[月環]’ 등으로 역시 차용어다. 첫째 유형보다 지리적으로 확산된 것으로, 이는 몽골어(또는 만주퉁구스어)의 ‘tana’(眞珠層, 眞珠)를 차용한 말로 몽골 및 만주퉁구스족은 그것을 둥근 장식품이나 단추로 사용하였지만 국내에서는 ‘귀고리’에 썼다. ‘지즑’은 ‘Ma. jijiri’가 異化 및 어말 모음 탈락을 겪고 또 ‘ㄱ’이 결합된 파생어다. ‘허북[腹, 肚]’는 『女眞譯語』 həfuli, Ma. hefeli, Mo. kebeli와 동원어다. ‘허벅지[股] ’(방언 ‘하북지’, ‘하불지’)도 여기서 파생된 것이다. 셋째, 중부를 제외한 북부∥남부에 분포하는 ‘부수막/부막(<부막)’(부뚜막, Ma. fushu)은 본디 전국에 걸쳐 분포하였던 것이나 후대에 ‘부뚜막’(<븟도막)이 출현하면서 각각 남부와 북부에 잔존하게 된 것이다. 중세국어의 ‘브’, ‘븟’ 또는 방언의 ‘부석’ 등도 모두 fushu와 관련된다. 이처럼 남∥북에 고립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사라구(<샤라구<샤리+-아구)/사랭이(<사랑이<샤리+-앙이)’(씀바귀, Ma. šari)가 있다. 이 역시 šari가 전국에 분포하였으나 중부방언권에서 ‘쓰-[苦]’계(씀바귀, 씬나물 등)이 출현하면서 남∥북에 잔존한 것이다. 이런 유형은 同源語일 개연성이 높다. 넷째, 전국에 걸쳐 분포하는 예로서 ‘감투’(Ma. kamtu)는 女眞語 차용어, ‘아욱/아북(Mo. abuga, Ma. abuha)’은 몽골어 차용어, ‘자갈(Ma. jahari)’은 同源語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Among the Korean vocabulary, we selected 10 terms which are supposed to be Manchu-Tungus or Mongolian and showed its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tried to interpret it. These are loanwords or cognate words. There are four type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First, it is an example such as “가랖karapʰ an oak leaf". “가랖karapʰ" is analyzed as “갈kar oak+앞apʰ leaf". “앞apʰ" is the same as 女眞譯語(Jurchen Translation) “abuha", Nanai “abaha". “앞apʰ" is a word formed by /u/-deletion(syncope), -bh->/pʰ/(aspiration) and final vowel /a/-deletion(apocope) after the borrowing of “abuha". And “꼬지깨덩지koǰik’ɛtəŋči" is hybrid composed of Ma. “koika(short plants growing thickly together that resemble human hair)" and Kor. “təŋči(a lump)". “karapʰ " and “koǰik’ɛtəŋči " which are hybrids of the two ethnic languages, all of which are distributed in the Northeast dialect. Second, the range of distribution is limited to Northern dialects, such as “탄tʰan or 월귀탄wərkwitʰan earrings". This corresponds to the “tana"(pearl or pearl layer) of Mogolian or Manchu-Tungus, which Mogolian or Manchu-Tunguses used as round ornaments or buttons but as earrings in Korea. “허북이həpuki" corresponds to Jurchen "həfuli", Ma. "hefeli", Mo. "kebeli". The third type is such as the “부수막pusumak(or 부막pumak<puzumak<pusu+ mak) a kitchen [fireplace] range" related with Ma. “fushu", which was based on the nationwide distribution before. But in the later part, the new word “붓도막put’omak a kitchen [fireplace] range" appeared in the Central dialect, so that it is distributed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parts of Korean peninsula respectively. Kor. “pusu-" and Ma. fushu were separated from cognate word *pushu. I argued that the Late Middle Korean “브pɨzəp and 븟pɨs kitchen" or the dialect “부석pusək" and “부뚜막(<븟도막put’umak)" all originated in Ma. “fushu". In addition, there are “씀바귀s’ɨmbagwi a lettuce" and North-eastern dialect “사라구saraku"(Ma. šari+Kor. -agu(suff.)), Southern dialect “사랭이sarɛŋi"(Ma. šari+Kor. -aŋi(suff.)) which were also separated from cognate word *syari. The fourth type i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자갈čakar(Ma. jahari) pebbles" is cognate, and “아욱auk, 아북abuk(dialect) mallow" was borrowed from Mo. “abuga", and “감투kamtʰu, 감튀kamtʰwi(dialect) hat" was borrowed from Jurchen “kam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