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일간 베스트>에서 <메갈리아>와 <워마드>로 이어지는 흐름을 신자유주의 시대의 혐오의 정동경제학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신자유주의적 재편과 더불어 일어나는 삶의 위기들과 불안정성은 여성, 퀴어, 이주민, 복지 수혜자 등과 같은 타자들이 초래하는 위협, 위험, 혹은 부담으로 오인 및 전치되며 이러한 과정 속에서 혐오의 정동경제학은 확산된다. <일간 베스트>의 여성혐오는 남성 특권의 ‘약탈자’로서의 여성과 페미니즘에 대한 비난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에 저항하여 등장한 <메갈리아>는 혐오의 문법을 패러디하고 반사함으로서 여성들의 문화적 역량을 조직하고 입증하였다. 그러나 해체되기보다는 전유된 혐오의 문법은 본질주의와 분리주의를 지향하는 <워마드>의 등장과 더불어 퀴어 및 트랜스 혐오로 나타나고 있다. 성적 피해와 상처의 기억을 페미니스트 저항의 정동적 원천으로 하여 조직되는 <워마드>의 성 정치학은 그 표면적 전투성과 반대로 자신이 대항하는 성적 억압의 이론적, 실천적 토대를 무비판적으로 반복하는 모순을 보인다. 우리 시대의 페미니스트 정치학은 혐오의 문법이 생산되는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의 다층적인 구조들과 그 안에서 일어나는 약자들 간의 경쟁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소수자들 간의 연대를 모색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This paper attends to the recent emergence of misogyny in late-modern, neo-liberal Korean society by retracing the affective mobilization of hate among the Ilbe, Megalia and Womad. While Ilbe, a far right male conservative group that blamed feminism and women for their "loss" of male privilege, and in so doing proliferated digital misogyny, Megalia, a spontaneous and voluntary digital feminist activism stood against Ilbe with their parodic resistance called "mirroring." The practice of "mirroring", I argue, though, fails to radically deconstruct the affective grammar of hate but only culturally appropriates it. Womad, which split from Megalia over the controversy of online gay bashing, soon established itself as a site of separatist and essentialist feminist politics. Keeping men, gays, and trans women out of their own version of gynotopia and 'radical' feminist activism, they produced an essentialist brand of cultural feminism. In conclusion, I argue that feminist politics needs to carefully understand its own historical conditions of speech and acts so as not to reproduce the larger structures of neoliberal violence against minority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