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글에서 조선시대 법제 자료를 法典, 수교, 법령, 刑律書, 官署志, 詞訟書, 訴訟자료, 檢驗書 등 몇 가지 주제로 분류하고 현재 번역 현황과 차후 번역이 필요한 자료를 검토하였다. 기번역서의 현황을 검토함으로써 차후 법제 자료 번역 대상 서목을 선택하거나 번역 계획 수립하는데 참고가 되고, 번역 방식과 번역물 평가 등의 문제를 생각해보는 계기로 삼는 것이 본 글의 목적이다. 1-1)에서는 『경국대전』, 『속대전』, 『대전통편』, 『대전회통』 등 조선의 기본 법전과 이들 법전에 담길 법규들을 모은 受敎, 이들 수교 중 영구적 효력을 부여한 錄, 즉 『대전속록』과 『대전후속록』, 조례 등의 법령집, 조선의 형률로 차용된 『대명률』의 번역 현황, 2)에서는 의금부나 형조 등 사법기관의 조직과 연혁, 관제, 범례 등의 기록을 담은 관서지와 재판 자료, 3)에서는 詞訟書, 소송자료, 형옥 관련의 檢驗書, 無冤錄 등 자료의 번역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2-1)에서는 법전, 특히 『대전회통』 재번역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글ㆍ한자를 병기하고 현대문에 맞추어 문장을 재정리하여 가독성을 높이며, 기존 번역서에서 발견되는 오역 부분을 바로잡고 그동안 축적된 연구 성과를 주석에 반영하여 새롭게 번역할 필요가 있다는 점, 그리고 웹상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서비스하는 작업까지가 재번역의 프로세스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2)에서는 법제 자료의 카테고리에 넣을 수 있는 사료들을 유사한 성격별로 정리하고, 이를 번역서로 묶어낼 수 있는지의 여부를 따져보아 중장기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것, 3)에서는 규장각, 장서각 외 각 대학 도서관에 분산되어 있는 자료 수집과 정리, 이본 대조를 통한 定本化, 교감 및 표점, 원문 입력,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 번역은 일련의 작업으로 동시에 추진되어야 한다는 점, 공동 번역의 운영 방식, 번역 결과물의 철저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점 등을 강조하였다. 초역이나 재번역이나 법제 자료 번역은 『승정원일기』, 『실록』, 『일성록』 등 관찬 사료의 검토를 통해 오역을 최소화하고 각 조문이 당시 어떠한 문제로 인해, 어떤 배경 속에서 만들어졌는지 입법 취지와 배경이 뒷받침된 정확한 번역이 지향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article, I classify the law material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nto several themes such as law books(法典), sugyo(受敎), the penalcode book(刑律書), government office books(官署志), lawsuit material, necropcy data(檢驗書) and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he translation and the materials that require further transl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ed book and select the subject of translation for future legislation material or to establish translation plans and to consider issues such as translation way and assessment of translation. In Chapter 2, I examined the basic law books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Sog daejeon』(『續大典』), 『Daejeon tongpyun』(『大典通編』), and 『Daejeon whaetong』(『大典會通』), and reviewed the status of translation of sugyo(受敎), rog(錄), 『Daejeon sogrok』(『大典續錄』), and 『Daejeon whosogrok』(『大典後續錄』), bylaw(條例), 『The great Ming code』(『大明律』), which is the penal code of the Joseon Dynasty. and I reviewed the status of translation of government office books(官署志) and lawsuit material, necropcy data(檢驗書), 『Moowonrog』(『無冤錄』). In Chapter 3, I examined the necessity of retranslating the code, especially 『Daejeon whaetong』(『大典會通』). It is necessary to record Korean alphabet and Chinese characters together and reorder them into present sentences to improve readability, correct mistranslation of existing translated book, to re-translat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to the comments and to be able to search the Internet and I emphasized that a whole series of tasks should be a process of retranslation. The historical record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legislation material should be organized by similar personality. Translation or retranslation should be reduced by studying 『S​eungjeongwon ilgi』(『承政院日記』),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Ilseongnok』(『日省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