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3차년도의 초등교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의사결정권한과 수 업개선활동, 교사효능감, 교직만족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 교사의 직위별(부장교사, 일반교 사) 경로계수의 차이 검증을 통해 연구모형이 집단 간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교육종단연구 3차년도 데이터의 교사 설문지에 응답한 초 등교사 43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한 후 매개효과 검증 및 다중 집단 분석을 실시하였 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의사결정권한이 교직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결정권한이 수업개선활동과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개선활동과 교사효능감이 교직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수는 의사결정권한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교 사의 직위에 따른 집단(부장교사, 일반교사) 간 경로계수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간 경로계수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교사의 직위(부장교사, 일반교 사)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 교급에서 교사들의 의사결정권한의 강화가 교사들의 교직만족도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가 될 수 있으며, 수업개선활동과 교사효능감 역시 제고시킬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 내었다. 뿐만 아니라, 의사결정권한의 강화가 수업개선활동과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교사들의 교직만족 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이끌어내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궁극적으로 단위학교 차 원에서 교사들의 의사결정권한이 보다 확대되어야 하고, 교사들의 의사결정역량을 키워주어야 하며, ‘교직원협의회’와 같은 단위학교 의사결정기구를 법제회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cision - making authority,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atisfaction using elementary teacher data of the third year of Gyeonggi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the research model can be applied equally among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groups. In this study, 43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the third year data of Kyonggi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 making author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acher 's satisfaction. Second, decision - making author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nd teacher efficacy. Third, it was found that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and teacher 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ing satisfaction, and two variables significantly mediated the influence of decision authority on teaching satisfaction. Fourth, the path coefficient between the head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os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strengthening of decision-making authority could be a way to solve teachers' problem of lowering teacher's satisfaction and to improve teaching activities and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should be expanded. Also, teachers' decision-making capabilities should be increased, and decision-making bodies such as 'Faculty Council' need to be legis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