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how symbolic policies are implemented in the Korean political economy. Symbolic policies are implemented in anticipation of ideational or symbolic effects to satisfy the public demand for change without threatening the status quo. In particular, this article emphasizes ideational path dependency that creates a political condition suitable for implementing symbolic policies. As the ideas acting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tend to be sticky, ideas can function as cognitive locks that cause a perceptive mismatch between external environments and subjective perceptions. If the public demand does not reflect the external environment due to a perceptive gap, policymakers are able to employ symbolic polices that aim to satisfy only the ideationally interpreted demand for change from the public. In the case of the Korean political economy, although the developmental model began to be dismantled in the 1980s, it continues to be used by the public as a heuristic to understand economic issues. This ideational path dependency causes a perceptive mismatch between external environments and public perception, providing policymakers with a political opportunity to employ symbolic policies that aim to satisfy the public call for change without affecting the status quo of the Korean political economy.


본 논문은 한국정치경제에서 상징 정책이 어떻게 실행되었는가를 분석한다. 상징 정책은 물리적환경에 대한 변화 없이 관념적 또는 상징적 효과를 통해 변화에 대한 대중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방식이다. 특히 본 논문은 관념적 경로의존성이 상징 정책을 실행하는 정치적 조건을 만들어낸다는점에 주목한다. 해석적 틀의 역할을 하는 아이디어는 지속력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적 환경과 주관적인식 사이의 인지적 불일치가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인지적 불일치 때문에 대중의 요구가 외부의물리적 환경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게 되면 정책결정자들은 물리적 환경의 변화 없이 대중의 관념적 요구만을 만족시켜주는 상징 정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국정치경제에서 발전주의 모델은1980년대부터 해체되기 시작했지만 발전주의 모델은 한국정치경제의 문제들을 해석하는 아이디어로 지속적으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관념적 경로의존성으로 인해 외부의 물리적 환경과 대중의 인식사이에 인지적 불일치가 발생하였다. 정책결정자들은 이러한 인지적 불일치를 활용하여 물리적 환경의 변화 없이 대중의 변화에 대한 요구를 관념적으로 충족시켜주는 상징 정책을 활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