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presents a theory of socioeconomic status voting (SES voting) to explain why voters do not vote based on their SES. An analysis of a spatial model reveals that SES voting is in negative relationships with (1) voters' sensitivity to valences, (2) differences in parties' valences, (3) similarities in parties' redistribution policies, (4) voters' sensitivity to policies other than redistribution policies, (5) the polarization of the parties' positions over the non-redistributive policies, and (6) incomplete information about the parties policies and valences. Using these results, this paper explains why class voting is more salient in the United Kingdom tha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Lastly, this paper discusses implications that the results of this paper have for representative democracy and income inequality.


이 논문은 유권자들이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기반한 투표를 하지 않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이론을 제시하였다. 공간모형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사회경제적 지위투표는 (1) 유인가치에 대한 유권자의 민감도, (2) 정당 간 유인가치 차이, (3) 정당 간 재분배정책 유사성, (4) 재분배정책 외의다른 정책에 대한 유권자의 민감도, (5) 재분배정책 외의 다른 정책에 대한 정당 간 입장차이, (6) 정당정책 및 유인가치에 대한 정보의 불확실성과 반비례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결과들을 적용하여영국에서의 계급투표가 미국과 한국에 비해 더 현저한 이유를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의 분석결과가 소득불평등에 대해 가지고 있는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