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Are there any parallel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labor's role in partisan politics as legitimate among the industrialized or industrializing countries? What accounts f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is process? And can the experience of Korean labor shed some light on the understanding of other countries? Korean polity and economy have been transformed tremendously since 1945 to the present. In this process, Korean labor had endured the political upheavals and state-initiated industrialization and finally established itself as a recognized political actor since the 1990s with the democratization. How did the Korean polity remain authoritarian more than thirty years and what was the political position of labor under authoritarian rule? To understand the political underpinnings of Korean authoritarianism,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first political arrangements of the South Korean polity wrought by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Korean labor, an important pillar of partisan politics of modern polity, became to be accepted as a ‘legitimate’ player under the eyes of new South Korean rulers since the American Occup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labor of three decades of South Korea was mainly formed by the state-building actions of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while fierce political struggles between the left and right also contributed tremendously to the formation of the Korean state-labor relation.


산업화되었거나 산업화를 겪고 있는 국가들에서 노동이 당파 정치에서 정당한 역할을 수행할 수있는 위상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비교할 점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어떤 요인들이 이 과정에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야기하며, 또 한국의 경험은 다른 나라들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겠는가? 한국의 정체(政體)와 경제는 1945년부터 지금까지 심대한 변화를 겪어왔다. 이 과정에서 한국의노동은 국가의 탄압, 국가 주도의 산업화를 겪었고 마침내 1990년대의 민주화이래 정치 행위자로서그 위상을 인정받게 되었다. 그렇지만 어떻게 한국의 정체는 1945년 해방이후 30년 넘게 권위주의적이었고, 이 권위주의 지배하에 한국 노동의 정치적 위상은 어떠하였는가? 한국 권위주의 체제의정치적 기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군정에 의해 형성된 한국 정체의 제도적 장치를 이해하는 것이중요하다. 이 논문은 한국의 노동이 어떻게 미군정하에서 정당한 행위자로 인정받게 되었는가를 분석한다. 한국에서 국가와 노동의 권위주의적 관계는 주로 미군정의 국가형성 (state-building) 행위에 의해형성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좌파와 우파 사이의 격렬한 정치 투쟁 또한 한국에서 국가와 노동의 관계가 형성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