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세계화와 고용과의 연관관계를 패널공적분 접근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계화, 고용, 생산은 공적분관계가 존재하였다. 또한 고용에 대한 세계화의 직접적인 효과는 장기적으로 부정적이었다. 반면, 교역규모로 정의된 세계화는 장기적으로 생산을 증가시키는 경로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용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생산이 통제되면 교역규모로 정의된 세계화는 고용과 음(-)의 관계를 나타내나, 생산이 통제되지 않으면 고용과 양(+)의 관계를 보인다. 한편 수입규모로 정의된 세계화는 생산이 수입으로 대체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고용과 음(-)의 관계를 보인다. 수입규모로 정의된 세계화는 생산이 통제된 경우에도 고용과 음(-)의 관계였다. 또한 세계화에 대한 산업별 고용의 영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더불어 세계화가 더 이루어진 산업에서 상대적으로 고용의 감소가 더 크느냐의 문제는 일관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단기적인 연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한 패널 VECM분석에서 세계화로 인해 교역규모가 증가한 경우보다 수입이 증가한 경우, 고용 감소 폭이 더 크다는 점을 보였다. 즉 세계화는 경제성장을 통해 고용을 확대시킬 수 있지만, 수입이 국내생산을 대체하면 고용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무엇보다 산업마다 세계화의 영향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세계화를 통한 경제성장의 성과를 고용확대로 연결시킬 수 있는 산업정책 및 조세정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globalization and employment based on the panel cointegration approach. From the analysis, globalization, employment, and production have cointegration relationships. The direct effect of globalization on employment was also negative in the long run. On the other hand, globalization, defined by trade size, positively affects employment through the production increase in the long run. If production is included in the model, globalization, defined as trade size, has reduced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globalization, defined as import size, reduces absolute employment in the long run as production is replaced by imports. Globalization, defined as import size, reduced employment even when production was controlled. In addition, the effect of employment by industry on globaliz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Moreover, it is inconsistent whether the relative decline in employment is greater in industries with more globalization. In the VECM analysis, we find out that the employment decline is greater when globalization leads to an increase in import size rather than an increase in trade size. That is, globalization can expand employment through economic growth, but employment can be reduced if imports replace domestic production. Therefore, industrial policy and tax policy that can link the achievement of economic growth through globalization to employment expansion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