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북한문학이 주체의 혁명위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해야 하는 중요한 과업 가운데 하나가 ‘사회주의현실주제작품’을 창작하는 것이다. 그런데 북한 ‘사회주의현실주제작품’ 은 조선노동당의 ‘정치’와 인민의 ‘생활’이 다양한 방식으로 충돌하는 지점을 드러낸다. 왜냐하면 당은 ‘정치의 생활화’를 통하여 더욱 강력하게 인민을 지배하고자 하며, 이에 대응하여 인민은 ‘생활의 정치화’를 통하여 생활 속에서 그 나름대로 저항의 틈새를 찾고 그것을 넓혀나가려 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생활과 정치의 갈등문제’를 분석 틀로 삼아 북한 ‘사회주의현실주제작품’의 역사적 변모양상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제1시기(1965 ∼1978년)는 인민의 일상생활을 발전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당이 정치적 ‘선도성’을 발휘한 시기이다. 모든 인민이 생활과 교육의 혜택을 평등하게 누리고 있고,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사회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농민들이 농기계를 조종하는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노동자들이 직장대학을 다니며 기술이론을 학습하는 일상생활의 모습을 과거와 비교하여 형상화한다. 평등사회에 대한 인민의 열망과 기대감을 조성함으로써 정치의 선도성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제2시기(1978∼1985년)는 주체사상이 인민의 일상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뿌리내려 내부의 단결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당이 정치적 ‘관용성’을 내보인 시기이다. 인민이 생활 속에서 향유하는 사적인 경험들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고, 이것이 수령과 당의 보호를 전제로 존립하는 것임을 강조함으로써 수령과 당과 인민 사이의 특별한 유대관계를 부각시킨다. 인민의 일상생활에 자율성을 부여함으로써 정치의 관용성이라는 착시효과를 이끌어내고 있다. 제3시기(1985∼1995년)는 인민의 변모하는 일상생활을 따라잡기 위하여 당이 정치적 ‘전향성’을 드러낸 시기이다. 일상생활 속에 존재하는 일탈적 인물과 모범적 인물, 혹은 서로 다른 가치관을 지닌 인물들의 모습을 대화를 통하여 상호 대응시킨다. 개인적 일탈을 자각시키거나 증폭된 욕망에 대한 반성을 촉구함으로써 변화를 지연시키고자 하는 정치의 전향성을 새롭게 시도하고 있다. 앞으로 북한 인민의 생활 변화는 생활 본연의 반복성으로 인하여 더욱 가속화될 것이고, 이에 따라 북한의 목표문화와 현실문화 사이의 간극은 더욱 커져갈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조선노동당이 ‘사회주의, 공산주의사회 건설’이라는 목표문화 자체를 재설정함으로써 체제변화의 길을 선택하게 될지, 아니면 자본주의에 침윤된 현실문화를 제도적으로 수용하는 전향적 정치의 보폭을 넓혀나감으로써 체제존속의 길을 선택하게 될지 아직 알 수 없다. 다만, 우리가 ‘생활과 정치의 갈등문제’를 중심으로 북한 ‘사회주의현실주제작품’의 역사적 변모양상을 살펴봄으로써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이 어떤 사회체제이건 체제발전의 원동력은 바로 체제의 ‘개방성’이라는 사실이다.


One of the important tasks for North Korean literature in performing a feat ―the rev-olution in Juche Idea ―is to create a ‘work on socialist reality theme.’ However, the ‘work on socialist reality theme’ reveals the point where the ‘politics’ of the Korean Workers’ Party and the ‘life’ of the people conflict each other in various manners. Because the party intends to control people more authoritatively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politics into life’ and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wish to find the opportunity to resist in living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living into politics’ and broaden the opportunity. This study used the ‘conflict between living and politics’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changes in history with respect to the ‘work on socialist reality theme’ of North Korea. The first phase (1965∼1978) is when the party displayed political ‘leadership’ in order to change people daily life in a constructive way. They embodied the images of the daily life where all people enjoy the benefit of education, men and women are equally participating in the social activities, farmers are learning new technologies to operate agricultural machine, workers are attending colleges at work to learn about new technologies and theories in comparison with the past. The political leadership was justi-fied by raising aspiration and expectation for an equal society. The second phase (1978∼ 1985) is when the party showed political ‘tolerance’ so that the juche ideology could smoothly take root in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The special ties between the chairman, party, and people was given prominence by concretely embodying the private experiences that the people enjoy in living and emphasizing that it requires the protection from the chairman and the party as the premise. Giving autonomy to the daily life of people also brought the illusion of political tolerance. The third phase (1985∼1995) is when the par-ty revealed the political ‘conversion’ in order to catch up with the daily life of the people. The images of deviant people, exemplary people, or people with different values in every-day life are put together toward each other through conversation. A new attempt of polit-ical conversion has been made to delay the change by awakening them to realize individual deviation or urging them to reflect on augmented desire. The changes in the life of North Korean people will accelerate due to the innate repetitiveness in living, and thereby broad-ening the gap between the target culture of North Korea and realistic culture. Also, it is still uncertain whether the Korean Workers’ Party would choose the path to change its system by resetting the target culture, ‘Construction of Socialist and Communist Society’ or choose the path to maintain its system by broadening the pace of forward-looking pol-itics which systematically accept the realistic culture saturated with capitalism. However, one thing that can be confirmed once again by examining the trend of changes in history with respect to the ‘work on socialist reality theme’ of North Korea centering on the ‘issue of conflict between living and politics’ is that the force that drives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social system, is the ‘openness’ of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