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정서장애학교 교사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각 수준 및 그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정서장애학교 교사 교수능력 조사지를 개발하여 정서장애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장애학교 교사는 교수-학습 지원보다 행동지원 범주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교수-학습 지원 중에서 사회기술 지도, 문제해결 지도, 장애특성에 대한 이해 및 지도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행동지원 중에서는 긍정적 행동지원, 스트레스 관리, 예방 중재전략 등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둘째, 정서장애학교 교사는 행동지원 영역이 교수-학습지원 영역에 비해 실행도가 더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 개별화 행동지원계획, 사회적 기술 지도, 스트레스 관리의 순으로 실행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차이가 가장 큰 요소는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의 특성 이해 및 지도로 나타났고, 차이가 가장 작은 요소는 정서ㆍ행동장애 용어에 대한 지식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정서장애학교 교사의 양성과정 및 재교육 과정 구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emotional disorder special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the teachers' competencies of teaching emotional disorder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92 special teachers who worked in special schools for emotional disorde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teachers of emotional disorder school was highly evaluate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behavioral support, teaching-learning support, and knowledge related to emotional disord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 there was a difference in order of teaching-learning support factor, emotional disorder knowledge factor, psychological-behavior support facto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eacher training course and retraining process of schools for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