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8년 ‘9.19평양공동선언’에서 남북 정상은 3.1운동 100주년을 공동으로 기념하기로 하고, 그를 위한 실무적인 방안을 협의해 나가기로 하였다. 남북이 공동으로 개최하는 3.1운동 100주년 행사는 3.1운동에 대한 남북의 분단된 집합기억을 통일을 위한 집합기억으로 만들어 가는 실험장이 될 것이다. 남북의 역사교과서는 3.1운동이 전 민족적인 반일 항쟁이었음을 공통적으로 언급하지만, 운동의 배경과 주도세력뿐 아니라 성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남측은 운동의 배경으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주도세력으로서 민족대표 33인, 성과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을 강조했다. 반면, 북측은 러시아혁명과 민족해방운동, 노동자․농민층의 진출, 부르주아민족주의 세력의 몰락과 당과 수령의 지도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강조했다. 그것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라는 남북의 체제적 분단이 낳은 결과이자, 남북 정권의 정통성 확보를 위한 경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3.1운동에 대한 남북의 분단된 집합기억을 통일을 위한 집합기억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각 지역의 3.1운동에 대한 기초 자료 전수 조사와 정리 작업을 남한과 북한, 코리언디아스포라가 공동으로 추진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 교재를 만들어 남북 주민과 코리언디아스포라가 자신의 지역에 국한된 3.1운동 해석을 넘어서 전 민족의 3.1운동 경험을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역사 연대’를 통해 일제의 식민 지배와 남북 국가의 필요에 의해 찢겨지고 갈라진 코리언의 수난의 역사와 그 역사 속에서 분투해 온 코리언의 노력을 우리 모두의 자산으로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In the “9.19 Pyeongyang Joint Declaration” held in Pyongyang in 2018, the South and North leaders agreed to jointly celeb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3.1 Movement, and agreed to discuss practical measures for it. The 3.1 Movement 100th anniversary event, held jointly by the two Koreas, will be an experimental field to make the South and North divided collective memories of 3.1 Movement as collective memories for reunification. The history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commonly mention that the 3.1 Movement was a nationwide anti‐Japanese rebellion,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evaluating the performance as well as the background and motive power of the movement. The South emphasized Wilson's national self‐determinationism as a background, the leadership of 33 national representatives as a leading force, and the establishment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s an achievement to the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North emphasized the Russian revolution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the advancement of labors and peasants, the collapse of the bourgeois nationalist forces, and the growing consensus on the need for leadership of the Party and its leaders. It was a result of the systematic division of the South and North by capitalism and socialism, and the competition for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regimes. To make the South and North divided collective memories of the 3.1 Movement a collective memories for reunification, the South and North, and the Korean Diaspora should jointly undertake a total inspection of basic data and organizing of the 3.1 Movement in each region.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build a history textbook so that the South and North residents and the Korean Diaspora can teach and learn the 3.1 Movement experience of the entire nation beyond the interpretation of the 3.1 Movement confined to their own region. Through this “history solidarity”, it is possible for us to make the ordeal history of Korean people torn and divided by the needs of the colonial ship of imperial Japan and the South and North nations, and the efforts of Korean people, who have been struggling in that history as assets for all of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