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의 북·중 관계 연구자 사이에서는 ‘북핵 위기’ 대처를 두고 ‘북한 포기’를 둘러싼 ‘보우초우룬(保朝論)’과 ‘치초우룬(棄朝論)’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은 중국 학계의 관련 연구에서의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낸 계기이기도 했다. 국제관계 연구에서 상대국의 외교 정책 및 방침에 관한 연구는 기본이고 관건이다. 그러나 중국 학계의 북·중 관계 연구는 대국관계의 하위 차원에서, 중국의 외교정책에 입각하여 다뤄왔다. 그 결과 북한의 외교 정책 및 그 핵심을 이루는 자주외교노선까지를 고려한 논의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북한에서 자주외교노선의 수립 시기는 북·중 관계 역사에서 양국 간 ‘혈맹관계’를 형성하여 ‘법적’ 동맹관계로 ‘합법화’ 해간 중요한 때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북·중 관계의 실체적 진실을 반영하고, 현재 중국의 대북문제 해결에서의 피동적 요인을 이해하는데 단서를 제공해줄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학계의 북한 자주외교노선의 수립에 대한 인식을 한국 학계와의 연구사 검토를 통해 살펴봄으로써, 중국 학계의 북·중 관계 연구에서의 특징과 도달점을 짚어보고자 한다.


Being confronted with “the Nuclear Crisis in North Korea”, the academic circles in China had lots of debates on whether to “abandon the North Korea” or to “protect it”. These debates have revealed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related studies in China. Studies on international relations fundamentally starts from the research in the general and specific foreign policies of the other countries. However, the academic circles in China consider the China-DPRK relations subsidiary to the relations with great powers, and work on it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diplomacy. Consequently,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the North Korea’s foreign policy and its core—independent diplomacy. The North Korea’s independent diplomacy began to take shape in the period when the “blood alli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being legitimized into “legal” alliance. The studies on the North Korea’s independent diplomacy will reveal the real situation of China-DPRK relations and shed light on the under standing of the cause of the unfavorable situation of China when resolving the Korean issues. By comparing the studies done on the North Korea’s independent diplomacy by Chinese academic circles with those done by the South Korean equivalents, this research intend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of the studies on North Korean diplomacy in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