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의 목적은 동남방언의 ‘상구’형의 특징과 기원에 대해 논의하는 것에 있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봉분을 세는 단위명사 표준어 ‘장’에 해당하는 동남방언형은 ‘상구, 상부, 상고’이다. 둘째, ‘상구’형의 기원에 대해서는 ‘상분(床墳)’ 기원론과 ‘상구(喪柩)’ 기원론이 있는데, 전자는 음운론적인 면에서 그리고 후자는 의미론적인 면에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보았다. 셋째, 어휘의미론적 적절성의 관점에서 동남방언의 ‘상구, 상부, 상고’의 기원으로 ‘산봉(<봉산(封山))’과 ‘산궁(山宮)’ 그리고 ‘산구(山丘)’를 제안하였는데, 앞의 둘보다는 ‘산구(山丘)’가 그 개연성이 크다고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discuss the features and origin of the Southeast Korea dialectal forms of the traditional ritual classifier “Jang”. The following discussions were made in this paper. First, the Southeast dialect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word ‘Jang’, which counts tombs, is ‘Sanggu, Sangbu, Sanggo’. Second, from the viewpoint of lexical semantical appropriateness, there are three options at the origins of the ‘Sanggu, Sangbu, Sanggo’: ‘Bongsan(封山)’, ‘Sangung(山宮)’, ‘Sangu(山丘)’, suggesting that the possibility of ‘Sangu’ is larger than the two of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