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통합사회’ 교과서의 활동 중 통합적 사고력을 명시한 활동을 중심으로 교과서에 구현된 통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통합사회’ 교과서 5종에 제시된 활동 전체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통합 영역, 실제성, 활동의 목표를 분석 항목으로 삼아, 통합적 사고력이 명시된 활동과 그렇지 않은 활동의 자료와 과제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통합의 영역 면에서 자료와 과제 모두 단일한 관점, 특히 사회적 관점이 반영된 비율이 가장 높았다. 둘째, 실제성 측면에서는 자료의 경우 실제 사례를 다룬 비율이, 과제의 경우 자료를 토대로 탐구하는 과제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셋째, 활동의 목표 측면에서는 기능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행동을 중심으로 한 과제의 비율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이에 비해 지식이나 가치/태도를 중심으로 구성한 과제의 비율은 낮은 편이었다. 넷째, 각 대단원별로 통합의 영역 및 활동의 목표 면에서 편중성이 나타났다. 다섯째, 통합적 사고력이 명시된 활동과 그렇지 않은 활동 간에 통합 측면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통합’이 교육과정과 일치하는 부분이 있는 동시에 교육과정의 충실한 실행을 위해서는 불충분한 부분도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측면에서 사회과 통합의 실질적 실현을 위한 보완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tegrated Society' textbooks, especially activities which show 'Integrated Thinking' as competency to find the feature of 'integr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area of integration, both the materials and the tasks have the highest proportion reflecting a single perspective, especially the social perspective. Second, in terms of actuality, the rate of handling actual cases was overwhelmingly high in the materials, and the rate of tasks of inquiry type was overwhelmingly high in the tasks. Third, in terms of the goal pursued by the activities, the ratio of the skills was the highest, and the proportion of the tasks centered on the behavior was relatively high. Fourth,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academic background is relatively strongly reflected in each unit.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tivities with and without 'Integrated thinking'.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in terms of curriculum, textbook developm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