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활용한 에너지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에너지 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동화를 활용한 에너지 교육프로그램은 ‘공감하기’, ‘탐구하기’, ‘확장하기’, ‘확고히 하기’의 4E 학습 전략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적용한 에너지 교재는 잘 알려진 동화를 만화로 재구성한 것이다. 이 교재는 재생 에너지, 태양 에너지, 풍력 에너지, 수력 에너지, 에너지 자립마을의 다섯 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참여 전후에 에너지 소양 검사를 하였고,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너지 소양 총점의 사후 검사의 평균은 사전 검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6.254, p=0.000). 둘째, 에너지 소양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 모두 사후 검사의 평균이 사전 검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하지만 세 영역의 각 문항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들은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구성된 에너지 교재를 선호하였다. 넷째, 초등학생들은 에너지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는 교재 구성을 원했고, 일부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a fairy tale-based energy education program on energy literacy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nergy education program based on fairy tales was used 4E learning strategies such as 'empathize', 'explore', 'expand' and 'establish'. The energy textbook applied to the study was developed a cartoon composed of well-known fairy tales. The energy textbook has five themes: renewable energy, solar energy, wind energy, hydroelectric energy and an energy-independent village. Before and after the study participation, the energy literacy test was conducted and the paired t-test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post-examination of energy literacy totals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pre-examination (t=-6.254, p=0.000). Second, the mean of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reas of energy-liter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pre-examinatio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ach of the three areas.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an energy textbook composed with fun and understandable. Four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nted a textbook that could summarize what they had learned about energy, and someone said they needed a detailed expla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