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여성은 남성보다 당선경쟁력이 낮다’는 정당들과 남성 정치인들의 주장이 경험적으로 사실인지 여부를 광역의회 수준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기 위한 목적에서 이뤄졌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된 다섯 번의 광역의회 지역구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와 당선자에 대한 집합자료를 사용해 광역의회 지역구 의원 당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성별은 당선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 아니었으며, 오히려 소속정당, 지역주의, 현직과 같은 정치적 요인들이 중요했고, 여성후보들에게 특히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대정당의 지지기반 지역과 도시화 정도가 높은 지역에 여성을 공천할수록 여성의 당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후보 개인의 당선을 결정짓는 요인은 성별이 아니라 정당이며, 여성대표성 확대는 제도적 제약 하에서도 정당의 의지와 실천에 의해 충분히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This paper analyzes the electoral competitiveness of women candidates in the higher-level local council elections in South Korea. One of the main findings from the pooled data set analysis of five elections from 1998 to 2014 is tha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women and men candidates in determining who won the election. Women candidates have advantages to win the election when they are incumbent or nominated by political parties making them run in the capital area, cities, and open sea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ason for women’s under-representation is not the sex of candidates but the decision of political parties who have refused to select women as candidates. Also it suggests that it is a good strategy for political parties to nominate more women candidates in the capital area, cities, and open seats to increase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on.